2022041801000713500033851

2018년 3월 달걀값 폭락으로 양계농가들이 시름에 잠겼다. 10개짜리 특란은 1천187원(출고가 기준)에서 963원으로, 다시 727원으로 떨어졌다. 3개월 사이 460원(38%)이나 급락한 셈이다. 생산비(2016년 기준 1천152원)를 밑돌면서 '다 망하게 생겼다'는 위기감이 증폭됐다.

농협중앙회가 구원에 나섰다. '범 농협 계란 소비촉진운동'을 벌여 달걀 4천만개를 소비하기로 했다. 전국 농협마다 소비촉진 캠페인이 동시다발로 전개됐고, 어깨띠를 맨 임직원들이 시민들에게 달걀을 나눠주는 장면이 연출됐다.

2014년 초엔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가금류 농가들이 초토화됐다. 닭고기는 기피음식이 됐고, 가격하락에 판로마저 끊길 지경이었다. 경기도가 소비운동에 나섰다. 도청 구내식당은 삼계탕과 닭볶음탕을 번갈아 내놨다. 식단은 안동찜닭, 계란 장조림, 순살 프라이드치킨으로 채워졌다.

공정거래위가 한국육계협회를 검찰에 고발하고 과징금 12억100만원을 부과했다고 17일 밝혔다. 협회가 10년 가까이 구성사업자들의 닭고기 판매가격, 출고량 등을 인위적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시정명령에도 불구, 위법행위를 그치지 않아 엄중 조치했다는 게 공정위 설명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협회는 신선육 가격을 올리려 2008년 6월부터 2017년 7월까지 40차례나 육계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했다. 구성사업자들이 거래처에 적용하는 생계(生鷄) 운반비와 염장비를 올리거나 할인율을 정하는 방법을 동원했다.

2015년 12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병아리 2천362만 마리를 처분해 생산량을 줄였다. 이 기간 달걀 240만개를 폐기했다. 협회는 2011년 7월부터 2017년 7월까지 17차례 삼계탕용 닭고기 가격이나 출고량도 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씨를 받는 종계(種鷄) 수도 조정했다. 2013·2014년 종계로 키울 병아리의 수입량을 제한하고 기존에 수입한 병아리들은 처분했다고 한다.

닭고기와 달걀은 국민 식품이다. 가정이든 식당이든 식탁에 빠지지 않는다. 양계업이 어려울 때마다 너나없이 걱정해주고 힘을 보탰다. 그런데 오르기만 하는 프라이드 치킨값에 검은 손이 있었다. 출고가 짬짜미와 인위적 개입은 질이 나쁘다. 꼬꼬 닭을 향한 국민들의 유난한 사랑이 뒤통수를 맞았다.

/홍정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