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지사 후보들이 도내 1기 신도시들을 중심으로 '부동산' 현장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일제히 국회에 계류 중인 '1기신도시특별법 추진'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는데, 29만 가구에 달하는 1기 신도시 주민들의 표심을 잡으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2일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는 군포시 산본동의 한 아파트에서 '1기 신도시 재건축을 통한 모빌리티 스마트시티 조성'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다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과 '1기 신도시 특별법'을 추진해 안전진단기준과 같은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경기도청 내 전담조직을 설치해 주거지 용적률을 법정 상한(300%)까지 상향하고 일부 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해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경선에서 떨어진 유승민 전 의원의 '스마트시티' 공약을 차용, 빅데이터·사물인터넷·인공지능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해 인프라 구축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김동연 "스마트시티로 재건축"
김은혜 "새정부 출범이후 즉시"
같은 날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고양 일산과 안양 평촌을 연이어 방문했다. 일산의 한 아파트 단지를 찾은 김 후보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생존의 문제'라고 규정하며 반드시 추진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김 후보는 "일산신도시 마을은 석면 덩어리가 떨어지는 지하주차장, 문을 닫을 수 없을 정도로 뒤틀어진 베란다 등 누수와 균열, 악취가 다반사"라며 "민주당 정부는 주민들의 요구는 모른 척 한 채 '입증하라'며 자동응답 같은 말만 반복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김 후보는 "오늘 윤 당선인이 선거 때 약속드린 것은 반드시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1기 신도시 특별법 제정, 1기 신도시 TF 출범을 시작으로 재정비 사업은 새 정부 출범 즉시 추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야 할 것 없이 후보들이 공약으로 1기 신도시 특별법 추진을 채택하는 데는 지난 대선의 영향도 크다. 집값 상승에 3기 신도시 사업이 추진되며 1기 신도시 주민들의 불만은 더 커졌다.
지역 정치권의 관계자는 "집값 상승이 대선의 승패를 가르는 요인으로 분석된 만큼 집값이 많이 상승한 지역인 경기도도 예민할 수밖에 없다. 특히 경기도에 1기 신도시의 대부분이 있기 때문에 관련 공약에 더 공을 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현행법상 '재건축' 한계… 이슈 급부상에 '지역 민심' 술렁인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