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영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후보와 진보진영 성기선 후보의 정책은 그들이 살아온 이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보수 정치인으로 보수 정권 황금기를 권력 정점에서 보낸 임 후보는 학교의 '자유'를 강조한다. 반면 교육 정책가이자 연구가로 생애 대부분을 보낸 성 후보는 이제 막 뿌리 내린 진보교육이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김상곤·이재정에 이은 3기 진보 교육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교육청 간섭에 자율권 침해 부작용
학생·교사 교육활동만 집중 최우선
1980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기획재정부 공무원을 지낸 임 후보는 40대에 접어들던 2000년 성남 분당에서 국회의원에 출마해 내리 3선을 지냈다. 이어 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는데, 교육감 출마 명분도 정치인 시절 펼쳤던 정책에서 찾는다.
국회의원 시절 누리과정(만 3~5세 공통 보육·교육) 법안을 입안했고 대통령실 실장을 지내며 이를 추진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실장 시절 국가장학금 제도를 도입해 '반값 등록금'을 실현했다는 것도 성과로 꼽는다.
중앙정치 무대에서 국가적 교육과제를 해결해 온 만큼 이제 전국 최대 규모 지자체인 경기도로 자리를 옮겨 교육을 맡아 보겠다는 포부다.
임 후보는 9시 등교 전면 시행과 혁신학교 보급과정에서 학교 자율성이 침해됐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학교 스스로 자율권을 가지고 교육활동을 펼쳐야 하는데 교육청의 일방적인 간섭으로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목고, 자사고와 같은 수월성 교육도 교육 다양성 측면에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교육청은 학교 폭력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고 디지털 교육과 같은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역할에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 후보는 사범대학을 졸업한 교사 출신 교육 전문가라는 점을 강조한다. 석·박사 시절부터 교육 불평등을 주요 연구과제로 삼았고, 고교 평준화부터 수능에 따른 대학 서열화 문제까지 진보진영이 제기해 온 각종 교육정책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왔다.
주로 고교 평준화로 학력이 떨어지는 하향 평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과 고교 학점제 등 수능 서열화를 완화할 교육 정책 개발에 매진했다.
2014년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이재정 교육감을 도와 혁신학교·꿈의학교·마을교육공동체 등 굵직한 정책을 다듬는 역할을 맡았다. 그는 진보 교육의 계승을 통한 완성을 슬로건으로 제시한다.
성 후보는 교육청 출입기자단 인터뷰를 통해 "과거엔 서구 선진국 교육이 월등하다고 봤지만 지금은 세계 어디에서든 한국 교육의 성과를 인정한다. 유일하게 이 성과를 인정하지 않는 게 한국 안의 보수 세력"이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성 후보는 이재정 교육감 정책을 이어나가면서 학생과 교사가 교육 활동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