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국내외 여행길이 꽉 막히면서 경기도 관광지는 오히려 숨통을 틔었다. 멀리 여행가는 일을 포기한 대신, 국내 관광객들이 근거리에 있는 여행지를 자주 오가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실제로 경기도가 5개년으로 계획하는 '제7차 경기도 권역별 관광개발 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를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지난 6차 계획(2017년~2021년) 수립 당시 경기도 방문 관광객을 예측한 수치와 2017년~2020년 실제 방문한 관광객 수를 비교했더니,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의 경우 실제 경기도를 방문한 관광객이 예측 관광객 수보다 10.85%p나 증가했다.
2017년과 2018년의 경우 실제 관광객 수는 관광객 예측치보다 각각 -3.05%p, -1.99%p로 적었고, 2019년엔 2.24%p만 예측치보다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코로나 시기, 경기도 관광계에 기회가 찾아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좋은 기회가 찾아왔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이를 이어갈 지는 미지수다.
양평, 가평 등 자연 친화적인 관광지부터 수원· 성남 등 화려한 도시관광, 연천·포천·동두천·파주 등 안보를 테마로 한 특수 관광지, 안산·시흥 등 바다와 섬을 가진 지역까지 다채로운 관광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실체를 들여다보면 실속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당일관광 비중이 높고, 숙박관광이 적은 것은 큰 약점이다. 보통 숙박관광 비중이 높아야 여행지에서 묵는 시간이 늘어난다. 그래야 여행지에서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경기도는 당일관광이 숙박관광보다 2배 가량 비중이 높다. 경기도 관광객 수가 늘어난 2020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당일관광은 46.09%인데 비해 숙박관광은 22.24%에 불과하다.
이를 6차 계획 당시 수립한 예측치와 비교하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당일관광은 예측 관광객 수보다 실제 관광객 수가 8.33%p 늘어났지만, 숙박관광은 0.64%p에 그쳤다.
여기에 외국인 관광객 수가 서울에 비해 턱없이 적고 이마저도 특정 시군에 쏠림현상이 심해 사실상 외국인 관광객을 모객하기 위한 계획이 전무하다는 지적도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경기도를 찾았을 때 주로 쇼핑센터 중심의 소비만 있을 뿐, 숙박이나 음식점 등 경기도 관광지를 방문해 지역 내 소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
또 안보나 자연휴양 등 특정 관광지역에만 방문하는 패턴 또한 오랜 시간 굳어졌는데, 외국인 관광객에게 경기도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소개하는 관광상품 개발이나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 같은 한계는 경기도 관광자원 전체를 발굴하고 개발하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다는 것이 원인이다.
서울과 부산 등 광역자치단체들이 '관광국'을 운영, 별도의 예산과 조직을 통해 관광사업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개별 지자체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취하지만, 경기도는 그러한 역할을 할만한 컨트롤타워가 사실상 부재하다.
최근 들어 경기도청 내 관광과를 중심으로 경기도 관광상품 발굴을 위해 둘레길 개발, 경기바다주간 등을 기획하고 지역 소비를 권장하기 위해 공정캠핑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도 차원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지만, 31개 시군을 아우르는 관광산업 육성은 어려운 게 현실이다. 특히 관광자원을 주로 보유하고 있는 도내 기초지자체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약해 지속적인 관광자원 개발이 어렵다.
경기도 관계자도 "지자체에 관광산업 지원을 하려고 해도 주로 도비와 시군비 매칭 사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재정이 빈약한 지자체들은 매칭사업에 참여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제7차 경기도 권역별 관광개발 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를 작성한 (재)한국산업관계연구원도 "관광인프라 및 콘텐츠 확충, 시군의 연계협력 지원 등 건강한 관광생태계 조성을 위해 '경기도 관광기금' 조성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해 서울, 제주,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은 관광진흥기금을 운영해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경기도 관광 전문인력 확대, 조직 확대 등 관련 조직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