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107만9천548명)은 물론 2020년(105만4천892명)에도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100만명을 넘었다.
골다공증은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증상이 아니다. 자칫 뼈가 부러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은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할 뿐 아니라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주로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골다공증은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골밀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폐경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줄면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폐경 직후 5년 동안 매년 3%의 뼈가 소실되고, 5년이 지난 후에는 매년 1%씩 감소한다. 즉, 50세 전후로 폐경을 했다면 60세가 되면 전체 골량의 20%가 감소해 골절 위험이 크게 높아진 상황이라는 말이다.
반면 남성의 경우 나이가 들어도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계속 분비돼 골밀도를 유지하지만, 2019년 대한골대사학회 자료에 따르면 70세 이상 남성의 18%가 골다공증, 56%가 골감소증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이 음주나 흡연, 카페인 및 탄산음료 섭취 등 뼈 건강을 해치는 생활습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女, 폐경후 뼈 소실… 男, 음주·흡연 등 위험
약물치료·식단 등 생활습관 개선 함께해야
골다공증의 문제는 특별한 증상이 눈에 보이지 않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20~30대 보다 키가 4cm이상 줄었거나 부모님의 허리가 굽어 있거나(유전적 요인), 장기간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제를 먹었다면 골밀도 검사를 꼭 받아보는 것이 좋다.
골다공증 치료는 골 소실을 방지하거나 골 형성을 증가시켜 골량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약물치료를 받게 되는데, 식단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함께 진행돼야 한다. 칼슘이 많은 동·식물성 식품 섭취와 함께 칼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D 합성을 위해 주 3회 30분 정도 햇볕을 쬐는 습관이 필요하다.
대한골다공증학회는 보고서를 통해 '칼슘 보충제는 필요 이상 섭취하더라도 추가적 이득이 없고, 부작용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며 '칼슘은 일차적으로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했다. 골다공증은 치료보다는 예방이 효과적이다. 금연, 금주와 함께 걷기, 수영, 계단 오르기 등으로 뼈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