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육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인프라 부족'에서 비롯된다. 교육의 질을 따지기 이전에 교육을 행할 '공간'부터 절대 부족상태에 시달리고 있어서다.
원인은 명확하다.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는 경기도 내 신도시들 때문이다. 서울 집값에 밀려, 또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30·40대 부모들이 도내 신도시에 둥지를 틀고 있고 아이들 수도 자연히 증가하고 있다. 당연한 이치인데, 정부는 경기도에 신도시를 지을 때마다 당연한 결과를 고민하지 않는다.
그로 인한 문제는 곳곳에서 발생한다. 한 예로 현재 개발 중인 수원 망포4지구의 하나뿐인 A 초등학교는 2019년 개교 이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학생 수가 급증하며 12개 교실을 증축해야 했다. 그러고도 모자라, 지난해엔 16개 교실을 더 증축하는 것으로 교육부 중앙투자심의를 통과했고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우후죽순 늘어나는 신도시에
학교 부족… 정부 '증축 급급'
이렇게 신도시에 학교 수가 적어 학교당 수용해야 하는 학생 수가 많다는 건, 정규 수업을 해야 할 일반교실의 부족과 연결된다.
최악의 경우 A초교처럼 증축을 하지만, 보통은 음악·과학·컴퓨터 등 특별교실을 일반교실로 대체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특별교육활동이나 돌봄교실 운영 등은 자연히 후순위로 밀리게 된다. 심한 경우 유휴교실이 없어 아예 초등돌봄을 하지 못하는 학교들도 있다.
음악·과학 등 특별교실 후순위
사실상 '차별'… 한국교육 흔들
결국 경기도 학생들은 마땅히 누려야 할 양질의 공교육을 온전히 누리기도 어렵다. 이런 상황을 경기도 교육계가 끊임없이 지적해 왔음에도 꿈쩍 않던 정부는 코로나19가 온 뒤에야 '학급당 학생수 20명'을 맞추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당장 신도시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가 평균 28명에 달하는 경기도 학교현장에 적용하기란 녹록지 않다.
게다가 학생 수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치를 근거로 기획재정부 등이 학교 짓는 일에 인색한 기조가 변하지 않은 채 현재 예정된 3기 신도시 등을 포함, 도내 신도시들이 다시 곳곳에 들어서면서 경기도 학생들은 과밀학급을 넘어 과대학교의 열악한 환경에서 교육받는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가뜩이나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생 수가 있는 경기도가 학생 1인당 공교육비가 가장 낮아 사실상 '차별'을 받고 있는데, 기본적인 환경조차 제대로 조성되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면 경기도 교육은 물론, 대한민국 교육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 → 관련기사 3면([지방선거 경기도 키워드·(7) 교육인프라·돌봄] 비좁고 놀이공간 없고… '갈길 먼' 초등돌봄교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