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0899_copy.jpg
경기도 초등돌봄은 양적 부족과 함께 '돌봄의 질'도 문제의 핵심이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돌봄교실은 최소면적으로 설치된 경우가 많고 교실 책상 의자가 그대로 있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실내 놀이공간이 없다고 한다. 보다 장기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이 없음. /경인일보DB

 

경기도 학교 부족현상과 함께 경기도 초등돌봄은 더 큰 문제다. 초등학교 입학과 함께 상당수 경기도 부모들은 '돌봄 공백'과 직면한다. 앞서 밝힌 것처럼 돌봄교실의 양적 부족과 함께 '돌봄의 질'도 문제의 핵심이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2020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학교의 초등돌봄교실과 지자체가 운영하는 '다함께돌봄센터'를 비교한 결과 다함께돌봄센터가 초등돌봄교실 면적의 2배에 가까웠고 초등돌봄교실의 절반이 실내놀이공간이 없었지만 다함께돌봄센터는 대부분 놀이공간을 갖추고 있었다.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서도 다함께돌봄센터의 경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은 반면 돌봄교실은 학교 안에서 이동한다는 점이 장점이었다.

연구에서도 "초등돌봄교실은 최소면적으로 설치된 경우가 많고 교실 책상 의자가 그대로 있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실내 놀이공간이 없다. 장시간 돌봄시설 안에서 보내는 아동들이 학습이나 프로그램 외에도 자유롭게 놀 수 있는 공간과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지자체 '다함께센터'보다 2분의 1
교육부 고시로만 운영 땜질식 일관


하지만 갈 길은 멀다. 초등돌봄은 법적 근거가 없이 교육부 고시로만 운영돼 돌봄 정책은 장기적 대안을 짜기보다, 땜질식 처방으로 일관해왔다.

최근 들어 돌봄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가 커지자 지자체들이 다함께돌봄센터 설치 등 초등 돌봄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교육계 안에서도 교사와 돌봄사 간의 갈등이 커지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다.

교사들은 학교는 교육공간이며 돌봄은 지자체가 맡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반면 돌봄사들은 학교 안에서 돌봄을 병행해야 한다고 대립하며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생 수를 보유한 경기도 교육계의 갈등은 극심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도내 학부모들은 무엇보다 돌봄이 필요한 '학생'의 입장에서 경기도와 기초 지자체, 경기도교육청 등이 머리를 맞대고 초등돌봄에 대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00_9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