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d.jpg
농·어업은 '식량안보'라는 주권 문제와 맞닿아있다. 도내 농축산어업은 도의 경제를 지탱하는 주축 중 하나다. 하지만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 앞에서 도는 물론 전국이 위기에 직면했다. 청년 유입이 급격하게 늘지 않는 한 이 같은 위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 마련과 귀농, 귀어를 늘리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인일보DB

 

경기도민 중에는 농민도 있고, 어민도 있다. 서해 바다를 낀 경기도 내 지자체는 물론, 도심지역을 벗어나면 곳곳에서 농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서울처럼 빌딩만 빼곡한 것이 아니라, 수도권에 속하면서도 도심과 도농복합지역이 어우러진 곳이 경기도이다 보니 도를 '종합행정'의 요체로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라는 소리가 과언이 아닌 셈이다.

지난해 기준 도내 농민은 28만300명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 어민은 2020년 기준 해수면 1천307명, 내수면 1천144명으로 해수면 어민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내수면 어민은 전국에서 2번째 규모다.

도내 농산물 생산량은 43만1천826t에 달하며 농가소득도 5천205만4천원(2020년 기준)으로 전국 평균(4천502만9천원)을 웃돌며 가장 높다. 도내에서 사육하는 닭과 젖소는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처럼 도내 농축산어업은 도의 경제를 지탱하는 주축 중 하나다. 하지만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 앞에서 도는 물론 전국이 위기에 직면했다. 코로나 19가 덮친 지난 2년간 위기는 극명하게 드러났다.

코로나 19로 외국인 노동자 입국이 제한되자, 일손을 구하지 못해 경작 면적을 줄어드는 농가가 속출했다. 실제 통계상으로도 도내 농민은 20년 전인 2000년 51만4천58명에서 지난해 28만여명으로, 어민은 2천211명에서 1천3천여명으로 감소세가 뚜렷했다.

농·어업은 '식량안보'라는 주권 문제와 맞닿아있다. 그렇다 보니, 미국 등 선진국은 농정예산의 상당 부분을 농가에 직접 지급하며 소득을 보전해주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도는 농민기본소득을 도입, 17개 시·군까지 대상이 확대됐고 기본소득의 취지를 담은 농촌기본소득도 연천군 청산면에서 시범 사업으로 이뤄진다.

청년 유입이 급격하게 늘지 않는 한 이 같은 위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 마련과 귀농, 귀어를 늘리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더욱이 만성적인 노동력 감소 상황에서도 농·어업 생산을 이어가도록 스마트화 사업과 더불어 공공 고용서비스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아울러 어가에도 '어민기본소득'이 필요하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도는 귀어민 지원을 위해 안산에 귀어학교를 설립하고 인력난 속에서도 생산량을 이어가도록 각종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며 경기연구원은 "지자체의 공공 고용서비스 강화를 통한 안정적인 농업인력 공급 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00_9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