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수가 없죠
정보를 안 줬는데
경기도시각장애인연합회 군포시지회장이자 시각장애인인 이진원(50)씨는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곤혹을 치렀다. 그가 받아 든 점자 공보물은 일부 후보자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오타와 불친절한 설명 탓에 공약을 상세히 알기 어려웠다.정보를 안 줬는데
이처럼 시각장애인들이 '정책선거'를 하는 건 어려움이 따른다. 시각장애인들도 심경이 착잡하다. 제대로 된 점자 공보물은 없다시피 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해 도입한 책자형 공보물 QR코드는 무용지물이 됐다.
일부 후보만 제공하는 점자 공보물
이마저 빈번한 오타와 부실한 설명
찾기조차 힘든 QR코드 '무용지물'
현행 공직선거법은 대통령, 지역구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후보자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공보물을 작성·제출하거나 책자형 공보물에 공약을 음성이나 점자로 확인 가능한 QR코드를 표시하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점자 공보물 대상에서 광역시도의원과 시군 기초의원은 제외된다. 점자 공보물 제작을 후보자 자율에 맡기는 방식인데, 규정이 없어 부실한 경우도 적지 않다. 진원씨는 종이 재질과 면수 등을 짚었다. 점자 공보물은 면수가 책자형 공보물의 2배 이내로 제한된다.
진원씨는 "책자형 공보물 한 장을 점자로 옮기려면 3장 정도가 필요한데 자세한 내용이 담긴 경우가 거의 없다. 시각장애인 유권자를 무시한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는다"며 "종이가 얇으면 점자가 흐릿하거나 쉽게 지워진다"고 토로했다.
QR코드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QR코드를 찾는 건 시각장애인들에게 버거운 일이다. 찾더라도 휴대전화 카메라 렌즈 초점을 맞추는 게 쉽지 않다. 진원씨는 "QR을 쓸 일은 없다"며 "시각장애인 대다수는 스마트폰이 아니라 2G 휴대전화에 점자 대용 스티커를 부착해 사용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음성으로 공약을 담아낸 이동저장장치(USB)를 확대 보급해야 한다고 했다. 점자가 익숙하지 않은 중도 실명자는 공보물을 읽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진원씨는 "40~50대에 시력을 잃은 이들은 손 감각이 둔해서 점자를 익히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며 "시각장애인 중 절반은 중도 실명에 해당한다"고 말끝을 흐렸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