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지자체에선 현수막을 이용해 우산이나 마대, 에코백 등으로 재활용하기도 하지만 후보 얼굴이 인쇄된 선거현수막은 재활용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선거용 현수막은 대부분 소각 처리된다. 화학약품이 처리된 화학섬유인 현수막을 태우면 당연히 다이옥신, 미세플라스틱 등 1급 발암물질이 이산화탄소와 함께 공기 중에 퍼져 나가 환경오염원으로 손꼽힌다.
여기에서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것이 바로 현수막과 탄소중립이다. 탄소중립은 개인,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2020년 21대 총선 당시 녹색연합은 선거현수막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30년산 소나무 2만1천100그루 흡수량에 달한다는 통계를 내놓은 바 있다. 이를 지방선거에 적용하면 최소 30년산 소나무 몇십만 그루에 해당하는 온실가스가 배출된 셈이다.
그런데 이번 지방선거도 탄소 중립을 외치던 후보들조차도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마치 선거기간 동안 현수막이 옥외광고물법의 예외로 인정받는 것처럼 탄소중립도 선거기간엔 예외를 인정받는 듯하다. AI시대에 고전적인 현수막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 의견이 많지만, 한 표라도 아쉬운 후보들에겐 이를 대체할 홍보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이라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현수막의 대안을 찾아야 할 때다.
/문성호 지역자치부(광명) 차장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