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하남 미사강변도시 기업 이전 대책 부지(초광산단) 입주 기업들(4월27일자 8면 보도=하남 미사강변 기업이전 대책 부지 '주차면적 고작 1%')이 이번에는 현실에 맞는 업종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1일 초광산단 기업인연합회에 따르면 2011년 수립된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 내 기존 공장 및 제조업소 등의 기업이전대책에 따라 초이동·광암동 일원(면적 21만6천여㎡)에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2단계가 추진됐다.
1일 초광산단 기업인연합회에 따르면 2011년 수립된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 내 기존 공장 및 제조업소 등의 기업이전대책에 따라 초이동·광암동 일원(면적 21만6천여㎡)에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2단계가 추진됐다.
하남 미사강변 기업들 대체 부지
제조업외 업체 입주 사실상 불가
20곳 떠나… 남은 건물도 공실로
"이전당시 법령업종 너무 비현실"
이전 기업들은 당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고한 하남미사 2단계 공장이전대책안에 따라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입주했다.
공장이전대책안에서 정해진 업종은 섬유·화학·목재·종이·재료·소재·전기·전자·기계 등으로, 전체 입주 업체 가운데 상당수는 과거 국내 제조산업을 이끌었던 의류 및 신발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등이다. 전체 입주 업체 110여 곳 가운데 섬유업체만 19곳이다.
문제는 입주 가능 업종이 2차 산업으로 분류된 제조업만 되고, 기술발전에 따른 지식집약적 산업(4차 산업) 등 신규 업종 추가 입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니 산단 성장에 한계를 보이는 것. 기존 입주업체들 역시 업종 변경이 불가능하고, 임대를 주려고 해도 공장이전대책 당시 정해진 업종만 가능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초광산단 입주 기업 가운데 20곳이 업종 변경 등으로 산단을 떠났다. 기존 건물은 임대가 나가지 않아 비어있는 것으로 연합회는 파악하고 있다.
초광산단 기업인연합회 김대건 사무총장은 "미사지구 지정으로 섬유, 전기, 전자 등 73개 업체가 초이동·광암동으로 이전해 왔고, 대부분의 입주 업체가 높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국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업종들로 구성돼 있다. 와중에 업종 전환도 안 되다 보니 입주업체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기업 이전 당시 법령이 정한 업종 및 용도가 현실과 너무 달라 산단 성장이 매우 어려운 만큼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전 기업들은 당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고한 하남미사 2단계 공장이전대책안에 따라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입주했다.
공장이전대책안에서 정해진 업종은 섬유·화학·목재·종이·재료·소재·전기·전자·기계 등으로, 전체 입주 업체 가운데 상당수는 과거 국내 제조산업을 이끌었던 의류 및 신발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등이다. 전체 입주 업체 110여 곳 가운데 섬유업체만 19곳이다.
문제는 입주 가능 업종이 2차 산업으로 분류된 제조업만 되고, 기술발전에 따른 지식집약적 산업(4차 산업) 등 신규 업종 추가 입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니 산단 성장에 한계를 보이는 것. 기존 입주업체들 역시 업종 변경이 불가능하고, 임대를 주려고 해도 공장이전대책 당시 정해진 업종만 가능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초광산단 입주 기업 가운데 20곳이 업종 변경 등으로 산단을 떠났다. 기존 건물은 임대가 나가지 않아 비어있는 것으로 연합회는 파악하고 있다.
초광산단 기업인연합회 김대건 사무총장은 "미사지구 지정으로 섬유, 전기, 전자 등 73개 업체가 초이동·광암동으로 이전해 왔고, 대부분의 입주 업체가 높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국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업종들로 구성돼 있다. 와중에 업종 전환도 안 되다 보니 입주업체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기업 이전 당시 법령이 정한 업종 및 용도가 현실과 너무 달라 산단 성장이 매우 어려운 만큼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남/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