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나 기업이 무한경쟁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치인과 경영자의 거시적 안목에 의한 독특한 전략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경영자들은 현실손실 보다는 기회손실 방지에 노력을 투입해야 한다. 일상의 경상업무는 현업의 관리자에게 거의 일임하고 경영자들은 전략적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을 투입해야만 한다. 대개의 경영자들은 현실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종일 사무실에서 서류와 숫자에 매달려 넓은 시장을 제대로 보지 못한 상황에서 탁상공론으로 경영전략을 이야기하니 늘 시장의 현실과 미스매칭이다. 조직이나 사업운영의 유효성은 더 이상 전략이 아니다. 전체 업무 중 70% 정도의 일상적(routine) 업무는 팀장급에게 위임하여 종결처분 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30%의 중요한 일에 전략적 노력을 투입하면 경쟁상황을 좀 더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업 복잡성은 정보 차단으로 발생
올바른 사람 옳은 자리에 배치하고
필요한 것들 제공하고 방해 말아야
발명왕 에디슨이 만든 세계최대의 글로벌 인프라 기업인 제네럴 일렉트릭(GE)을 한때 세계 최고의 기업가치로 자리매김하게 만들었던 경영의 귀재라 불리는 잭 웰치 회장의 경영전략에 대한 리더십을 소개한다. 그는 GE의 방만한 사업영역을 축소하고 주력 또는 전문화 업종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중요한 경영전략 중 하나는 'NO.1 or NO.2' 전략이었다. 글로벌시장에서는 1, 2위를 다투는 기업만이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원칙아래 1, 2위에 들지 못하는 사업은 팔아 치우거나 문을 닫는다는 파격적 선택이다. 경쟁력 없는 사업을 방만하게 운영하다 보니 수익성 없는 회사가 늘어나고 결국 그룹의 부담으로 작용된다. 이 전략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비즈니스 본류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시장을 넓게 보며 전략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GE의 모든 관리자급 이상에게는 중요한 질문 다섯 가지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한다며 매 임원회의에서 그 내용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5가지 중요한 질문(5 Critical Questions)을 소개한다. 첫째, 당신의 사업부문의 세계적 경쟁환경은 어떠한가? 둘째, 과거 3년간 당신의 경쟁자는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가? 셋째, 같은 기간 동안 당신의 사업부문은 어떻게 했나? 넷째, 향후 경쟁자가 당신을 어떻게 공격해 올 것 같은가? 다섯째, 경쟁자를 압도할 수 있는 당신의 전략은 무엇인가? 다시 살펴보면, 경쟁의 구도를 펼쳐 놓는다. 이 경쟁구도를 바꾸기 위해 경쟁사는 지난 3년간 무슨 일을 했는가, 그렇다면 그 기간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는가, 이 경쟁 구도를 바꾸기 위해 경쟁사들이 어떤 경쟁전략을 취할 것 같은가, 이기기 위한 당신의 전략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 경쟁구도를 바꿀 것인가에 대한 답변과 실천계획을 요구한다.
기업의 중요한 역량 내부경쟁 아닌
시장으로 돌리는 현명한 전략 필요
비즈니스는 단순한 믿음이 생명이다. 문제는 사업을 지휘하는 경영자들이 시장의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사업의 복잡성은 사람들이 중요한 정보로부터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 관리란 사람과 자원을 잘 배분하는 것이다. 올바른 사람을 올바른 일자리에 배치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고,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사업의 모든 기회는 시장으로부터 온다는 원칙은 기업의 중요한 역량을 내부경쟁이 아닌 시장으로 돌리게 하는 현명한 전략을 필요로 한다. 내부총질보다는 넓은 세상을 향해 마음껏 역량을 뽐내고 펼칠 수 있는 블루오션 기회를 만드는 것이 정치인들과 기업경영자들의 미션이다. 시선을 세계로 돌려 대한민국의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할 때이다.
/이세광 콘테스타컨설팅 대표·한국조직문화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