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민선6기 지방선거 후 파주 공직사회는 '피바람'이 불었다. 전임 시장 때 주요 보직에 있던 직원들이 모두 좌천되고, 일부는 경찰 수사까지 받았다.
민선7기 때도 민선6기와 비슷했다. 그리고 '정책보좌관'이라는 특이한 제도가 하나 도입됐다. 시장을 정책적인 부분에서 '보좌'한다는 자리였다. 파주시청에는 정책보좌관을 비롯해 11개 국장급(4급) 보직이 있다. 그러나 공직 내부에서는 정책보좌관을 여타 국장들보다 한 등급 높게 봤다. '시장이 데리고 들어온 사람'이니 '작은 시장'으로 본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정책보좌관은 출근하자마자 '업무 파악'이라며 시정 전반에 걸쳐 업무보고를 받았다. '점령군 사령관'에게 불려가 보고하면서 직원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정책보좌관은 이후 과·팀장들을 수시로 불러 보고받고, 지시하고, 질타하는 등 업무를 직접 챙겼다. 국장들을 건너뛰는 일명 '패스트트랙(신속처리)'인 것이다. 인사철이 되면 정책보좌관실 문턱이 닳도록 '찾아오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정책보좌관이 설치다(?)보니 지역 정가에는 시장을 지칭해 '6급 주사'라는 말까지 흘러다녔다.
그랬던 정책보좌관이 지금은 도시관광공사 사장을 하고 있다. 도시개발과 관광개발을 통해 '돈을 벌어야'하는 즉 '극도의 사업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기관을 맡고 있는 것이다. 가히 '팔방미인'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이제 막 당선된 민선8기 김경일 파주호(號)에도 이 같은 조짐이 일고 있다. 김 당선인은 '531표의 무거움'을 느끼길 바란다. 시민들은 '공직을 탕평'하고 '시민을 위한 시정'이 펼쳐지길 기대하고 있다.
/이종태 지역자치부(파주) 부국장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