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진자 오천여 명, 전 국민의 반쯤은 스쳐 지나쳤을 코로나19… 이젠 민감성이 상실되어 극복이 아닌 무심함으로 일상을 향해 걸음을 옮기는 요즘 Wellbeing, Welldieing의 'Well의 주체'에 생각이 머문다.
삶에 대한 궁극적 관심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로 정착되었고 현대에 이르러 물질문명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경제적 풍요는 물질 우선의 가치로부터 나아가 좋은 삶과 높은 삶의 질에 대한 욕구로 확장 되었다.
"내 삶의 주인은 누구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있는가?"
자신을 향한 질문으로부터 답을 찾아가는 삶의 여정은 스스로의 삶을 이끄는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는 일이다.
자신을 발견하고 진정한 나를 찾는 것과 순수자아를 만나는 것은 내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한 시작이며 자신에 대한 신뢰와 인정으로부터 자신의 삶에서 벌어지는 크고작은 일련의 행위와 생각(사고)의 선택에 대한 용기는 나를 결정하는 열쇠가 되어 내 삶의 영토를 채울 조각을 제공하게 된다.
내적 욕구·호기심 발견은 사고 탐색
여과 지나 선택되고 열정으로 실행
내가 주인공이 되어 나답게 살 수 있는 보장된 특권은 뇌가 가진 비밀에 존재한다. 17세기 덴마크 해부학자 니콜라스 스테노는 현대적 뇌의 연구법의 시조로 뇌의 기능과 원리에 관심을 두고 인위적 변화에 따른 의도된 결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기억과 지각의 방식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의도의 선택으로 뇌구조 자체를 바꾸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몸과 마음을 통제하고 생각을 선택하고 만들어 내는 기관으로 뇌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현재에도 뇌의 비밀은 여전히 중요한 부분으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공자는 논어 위정편에 나의 인생에 나를 주인으로 세우는 때를 '서른이면 立(입)'이라고 표현하였고 필자 역시 교육의 개인적 목적이 자신의 삶에 주인공 되는 자립과 자율이라 설명한다. 나다움의 삶으로 대변되는 주인공 되는 삶은 지각의 깨어있음으로 자각되고, 관조함으로 통합에 이르며 몰입하여 결과를 만들어 그 의미를 더한다. 자신만의 독특성을 존중하여 나다움을 보존하는 것이 주인공으로 나의 삶을 선택하는 것이리라.
삶의 아포리아 상태일지라도 잠시 멈추어 자신으로 향하는 내적 성찰과 질문으로 나다움을 지켜가는 힘을 기르고 실패로부터 피드백을 발견하며 나다움의 삶을 방해하는 습관을 떨쳐 목적을 향한 긍정의 습관을 익히고 몰입해야 한다. 우리의 삶은 질문으로부터 생각을 켜고 생각한 대로, 말하는 대로의 항해를 계속하게 될 것이다.
목적이 이끄는 삶으로의 공고함과
목표는 깊은 사색 단순한 결정 내포
구속으로 자유로움 변화위에 존재
내적 욕구와 호기심의 발견은 사고의 다양한 탐색과 여과를 지나 선택되고 열정과 집중으로 실행에 이른다. 이 순간을 나답게 살고 있음에 대한 자기확신으로 이룬 것에 대한 결정체가 아닌 삶의 과정 속에 being이 담긴 doing로 드러남을 알아차리는 것이 주인공으로서의 나의 삶을 살고 있음에 대한 대답일 것이다.
목적이 이끄는 삶으로의 공고함과 유연한 목표는 깊은 사색과 단순한 결정을 내포한다. 중요하지 않아서 더욱 중요한 사소한 우리의 모든 것은 나를 구속하는 것들로부터의 자유로움과 함께 변화 위에 존재한다.
"지금의 나로도 충분해."
자신을 향한 사랑의 채워짐으로 사랑을 나눌 수 있음과 자연 법칙을 알아차림의 겸손함이 세상 속에서 나의 자각이 되어 존중의 걸음을 세상으로 내딛는다. 최선과 최고로부터 최적을 깨닫는 지혜로움이 주는 선물은 더불어의 행복.
우주 속 하나의 별인 나, 그 하나의 별은 나의 우주.
선거로 어수선했던 시간을 뒤로하고 더불어 함께 손잡고 나아가야 할 사회를 향해 두 손을 내민다.
/정백연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코칭학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