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jpg
경기도의회 여야의 갈등이 팽팽한 정국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 교가 역할을 수행할 정무직이 필요하다는 논지가 나온다. 국민의힘이 경제부지사 추천권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정무수석직을 맡겨 양보를 보여야 한다는 이야기도 흘러 나온다. 경기도의회 본회의장의 모습. 2022.6.20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민선 8기 시작부터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의 갈등이 연일 이어지자 도청 안팎에선 '정무수석' 또는 '정무특보'를 하루 빨리 선임해 집행부와 의회의 가교역할을 맡겨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11대 도의회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이 78대 78 동수로 팽팽하게 맞선 정국을 헤쳐 나가려면 무엇보다 도와 도의회 사이를 유연하게 풀어갈 정무직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논지인데, 일각에선 도의회 국민의힘이 경제부지사 추천권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정무수석'직을 야당에 맡겨 협치와 양보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이야기도 흘러 나온다.

민주-국힘 78대 78 동수 맞선 정국
선임 서둘러 물밑접촉 필요성 강조
협치차원 野에 추천권 양보 대안도


전임 도지사들의 경우 정무수석 혹은 특보를 두고 도의회와의 소통에 힘써왔다. 도의회 내 민주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했던 이재명 전 지사의 경우도 평화부지사 아래 정무수석을 두고 의회와 수시로 소통했고, 현재의 여야 구성과 가장 비슷했던 남경필 전 지사도 정무특보를 활용, 의회와의 소통에 적극적으로 임했었다.

더구나 민선8기 출발과 동시에 도의회와 갈등이 불거진 만큼 하루빨리 정무수석을 인선하고 도의회와 물밑접촉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현재 도와 국민의힘 사이에서 갈등 조정역할을 맡고 있는 민주당 입장에선 더욱 정무수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남종섭 민주당 대표의원은 5일 김동연 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협치와 관련해서 (도에) 의논을 하고 싶어도 의논 대상이 없다. 우선적으로 정무수석을 빨리 선임해야 한다"고 재차 요청했다.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협치 차원에서 야당에게 추천권을 주는 것도 대안으로 떠오른다.

정치권 관계자는 "새 도지사의 도정철학이 반영된 경제부지사를 요구하는 건 무리다. 국민의힘도 이를 모르지 않을 것"이라며 "갈등 국면을 풀어내야 협치가 가능하다. 중립적 위치의 인사가 정무특보로 임명되면, 좀 더 대화가 유연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공지영·명종원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