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원식'을 연기하면서 파행을 겪고 있는 경기도의회가 교착상태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유례없는 여야 동수가 이 같은 갈등 상황을 더욱 증폭시키는 가운데, 경기도 및 경기도의회 여·야가 한 발씩 양보하는 대 타협안을 통해 이 국면을 정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지난 주말 내내 12일 제361회 임시회 1차 본회의 개회를 앞두고 전·후반기 의장 선출과 상임위원회 배분 등 원 구성 협상을 벌였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의장 선거도 여야 이견 탓에 예정대로 1차 본회의에서 치르지 못하고 잠정 연기될 전망이다.
오늘 개회 앞서 원 구성 협상 결렬
의장선거도 이견탓 잠정 연기 전망
앞서 민주당은 의장 선출만 놓고 단독으로 투표를 하자고 제안했고, 국민의힘은 의장단 선거와 상임위원장 선거를 함께 진행하자고 주장하며 맞서다 결국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의장 선출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11대 도의회는 첫 공식행사인 개원식과 도지사와 도교육감 등 외부 인사 40여명을 초청한 개원 축하연도 전면 연기했다.
대외적인 행사까지 취소할 정도로, 내부 갈등이 심각함을 만천하에 공개한 셈이다.
11대 도의회 교섭단체가 개원 전 원 구성 등 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한 이유로는 10대 도의회의 경제부지사 명칭 및 직제 변경 조례 개정이 첫 번째로 꼽힌다.
다만 이 문제는 시급한 경제 현안 등을 고려해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사과 의사로 봉합될 가능성도 있다.
여야정協 구성 '실행안 미제시' 비판
"도정 동반자 의지… 타협 테이블로"
김 지사가 협치를 강조하며 '여·야·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면서도 실질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
곽미숙 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은 "도지사가 협치를 하겠다고 해놓고 단 한 번 도의회에 찾아와 상견례를 했을 뿐 어떻게 무엇을 하겠다고 구체적으로 제안한 적이 없다"며 "10대 도의회에서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경제부지사 명칭 변경과 직제를 개편하는 조례 개정도 협치와 거리가 멀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결국 도의회의 꽉 막힌 국면을 타개할 출구전략은 김 도지사의 '협치' 결단에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의회를 도정 운영 동반자로 세우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것.
도의회 관계자는 "의회 책임이 크지만, 결국 이 문제를 풀어내야 하는 것은 김동연 도지사다. 김 지사가 의회에 출구전략을 마련해 주고, 여·야를 대타협의 테이블로 끌고 나와 큰 매듭부터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손성배·명종원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