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jpg
11대 경기도의회 제361회 임시회 1차 본회의가 열린 12일 의원들이 의회 본회의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의장단 선거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의장 선출과 원 구성 논의에 합의점을 찾지 못해 여야가 정회를 결정하면서 선거는 미뤄졌다. 2022.7.12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민선8기 경기도가 경기도의회 간의 불통은 물론 인사 등 멈춰선 경기도정에 대한 비판(7월 12일자 1면 보도=강대강 도의회 '인사 발목'… 출구전략 없는 경기도)이 일자, 경제부지사 명칭변경 조례 공포를 진행하고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에 맞춰 도정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는 일단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줄곧 강조해 온 '협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애초 약속한 대로 양당이 합의할 때까지 조례 공포를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협치 강조' 김동연, 합의후 약속
도의회 대치만… 추경도 불투명


하지만 물가·금리 상승에 더해 코로나19 재확산 위기까지 커지며 민생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사회 분위기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에도 설득력이 더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조례 공포를 통해 경제부지사 인선부터 해결하고 신임 경제부지사가 도의회와 직접 소통하며 경제위기 대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세우기에 적극 뛰어들어야 한다는 게 도 내부의 견해다.

이 같은 주장은 강성 지도부 의견에 반대하는 도의회 내부에서도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달 초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와 남종섭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곽미숙 국민의힘 대표의원 등이 만나 양당이 합의할 때까지 해당 조례를 공포하지 않기로 약속했지만, 이후 소득 없는 공방만 이어지는 중이다.

그런 사이 여론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경제부지사 조례 공포가 늦어지면서 경제중심의 조직 개편이 미뤄지는 데다, 집행부와 의회의 대치가 계속되면 민생경제 추경도 기약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도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등 서민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적기에 정책 및 예산 지원을 해야 하는데, '정치싸움'에 민생만 파탄 날 지경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는 것이다.

도의회는 경기도가 직접 나서 문제를 해결하라는 입장이다. 결과적으로는 김동연 지사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데는 도의회도 의견이 같다.

지미연 도의회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집행부에서 추가 입장을 밝혀야 우리도 대응을 할텐데, 아무런 입장도 안 나온다"고 입장을 밝혔다.

남종섭 도의회 민주당 대표의원도 "원 구성 협상도 쉽지 않은 상황인데, 경제부지사를 우리한테만 맡겨놓으면 해결이 되겠나. 시급히 정무라인을 정리해 양당과 집행부가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41.jpg
11대 경기도의회 제361회 임시회 1차 본회의가 열린 12일 의원들이 의회 본회의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의장단 선거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의장 선출과 원 구성 논의에 합의점을 찾지 못해 여야가 정회를 결정하면서 선거는 미뤄졌다. 2022.7.12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김동연 '조직안정' 직원에 메시지
오늘 대표의원과 오찬 성사 주목


이 같은 분위기에 김 지사는 양당 대표의원에게 13일 오찬 회동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만남을 통해 김 지사는 지난번 언급한 바 있는 '여야정 협의체' 등 실질적인 협치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 대표의원도 "김 지사가 막힌 정국을 풀기 위해 이른 시간 안에 만나자고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고 있다. 곽 대표랑도 만나 여러가지 얘기를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동연 지사는 멈춰선 경기도에 대한 경인일보 지적 등과 관련해 12일 도청 전 직원에게 메시지를 보내며 "이른 시간 안에 조직이 안정되도록 하겠다. '공정'과 '투명'을 조직 운영의 두 축으로 삼겠다"고 약속했다.

또 "인사와 조직 관리에서 특권이나 반칙이 없도록 공정하게 하겠다. 개인정보나 보안만 아니라면 모든 절차와 의사결정을 투명하게 하겠다"고도 덧붙였다.

/공지영·손성배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