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개 시군→31개 시군 이용 확대
환승 없이 목적지까지 원스톱 가능
역대 도지사 매번 이행 약속 불구
임기내 목표 못채워… 성사 주목
역대 도지사 매번 이행 약속 불구
임기내 목표 못채워… 성사 주목
역대 경기도지사들의 단골공약이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장애인 이동권 공약이, 김동연 경기도지사 임기 중에는 제대로 지켜질 지 이목이 집중된다.
17일 도에 따르면 경기장애인 돌봄찬스의 일환으로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 제한 조정 등 이동권 강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장애인 콜택시로 알려진 특별교통수단은 도 통합 운영이 아닌 각 시·군이 별도로 운영해 인접한 시·군만 이동이 가능하거나 수도권 지역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지난해 한 번의 접수로 시·군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를 도가 설립했지만, 용인과 평택, 하남 등 10개 시·군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도는 광역이동지원센터를 통해 31개 시·군 전역에서 특별교통수단을 이동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 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나아가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지역 안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는 특별교통수단을 타고 수원에서 서울, 인천으로 가려면 인접한 시·군에 하차한 뒤 지하철 및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제 갈아타지 않고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17일 도에 따르면 경기장애인 돌봄찬스의 일환으로 장애인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 제한 조정 등 이동권 강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장애인 콜택시로 알려진 특별교통수단은 도 통합 운영이 아닌 각 시·군이 별도로 운영해 인접한 시·군만 이동이 가능하거나 수도권 지역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지난해 한 번의 접수로 시·군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를 도가 설립했지만, 용인과 평택, 하남 등 10개 시·군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도는 광역이동지원센터를 통해 31개 시·군 전역에서 특별교통수단을 이동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 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나아가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지역 안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는 특별교통수단을 타고 수원에서 서울, 인천으로 가려면 인접한 시·군에 하차한 뒤 지하철 및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제 갈아타지 않고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장애인 이동권 강화는 민선 도지사들이 매번 이행을 약속하지만, 목표를 미처 달성하지 못한 채 다음 지사에게 공을 넘겨온 공약이다.
남경필 전 지사는 장애인 전용 콜택시 '따복택시'를 만들어 24시간 운행하고 몸이 불편한 장애인의 민원서비스를 대신하는 심부름택시를 도입한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따복택시는 운영의 효율성과 예산 등의 이유로 특별교통수단 확대로 수정됐고, 심부름택시 도입은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한 채 폐기됐다.
직전 지사였던 이재명 의원은 저상버스, 특별교통수단 확대를 내걸었다. 특별교통수단 확대는 목표 대수(1천116대) 이상인 1천157대까지 늘리는 데 성공했지만, 시·군, 광역 간 이동 제한은 풀지 못했다.
저상버스 도입률도 민선 7기가 시작된 2018년 12.7%에서 2020년 14.1%로 늘어, 1.4%가 확대되는 정도에 그쳤다. 전국 평균(27.8%)은 물론 같은 수도권인 서울(57.8%)과 인천(22.7%)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이에 도는 저상버스 도입률도 2026년까지 최대 80%까지 늘리는 등 김동연 지사의 정책 의지를 반영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특별교통수단과 저상버스 확대 등을 위한 추경과 예산 확보 등도 검토 중이다"며 "이동권 강화가 공약에 반영되고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을 반영해 추진에 힘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