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장고 끝에 결단을 내려 19일 경제부지사 명칭변경 등을 담은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공포했다.
경기도의회 야당의 반발을 뚫고 민생경제 회복에 첫걸음을 떼겠다는 의지를 밝힌 셈인데, '김동연식 정치'를 보여줬다는 반응과 함께 가부동수 도의회와 불편한 동거를 시작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경제부지사 중심 '원포인트' 강조
하반기 개편땐 '협의' 양해 제스처
19일 김 지사는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앞에 놓인 경제의 어려움과 도민의 먹고사는 문제 대응이 시급함을 고려해 조례안을 공포한다. 민생경제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하기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경제분야 총괄 컨트롤 타워인 경제부지사 직제 신설을 늦출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도 경제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원 포인트' 개편임을 강조하면서, 하반기에 있을 전반적인 조직개편에선 도의회와 충분히 사전협의를 거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민생경제의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라는 데 도의회도 동의하고 있는 만큼, 경제조직개편을 우선해 민선 8기 경기도가 일을 할 수 있게 양해해 달라는 일종의 제스처로 풀이된다.
경제가 표면적 이유라면 속내는 '김동연식 정치'를 보여주겠다는 강한 의지로 읽힌다. 김 지사는 인수위 시절부터 '협치'를 강조하며 정책연대를 강력하게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일관되게 남경필식 '연정'이 아닌 정책연대를 통한 낮은 수준의 협치를 이야기했다.
김 지사 측 관계자는 "오랫동안 경제관료로 일해 온 김 지사는 경제에 있어 여야의 이념과 프레임을 뛰어넘는 협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다. 특히 방법론에 대해 고민이 깊었는데, 앞서 경제부총리 시절, 대선후보 때에도 공통공약을 추진하는 여야정 공통공약 추진위원회 등을 제안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정치교체'를 외치며 정치 일선에 뛰어든 만큼 경기도에서 김동연식 정치교체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것이 절실한 배경도 고려됐다. 국민의힘 측에서 인사 추천권 등을 협치의 조건으로 제시했는데, 이에 대해 명확히 선을 그은 것도 기존 정치와 차이점을 보이기 위해서다.
김 지사 측 관계자는 "자리·예산 등을 나누는 식의 정치적 타협에 대해선 명분 없는 구태정치이며 교체돼야 할 정치행태로 판단한 듯하다"고 했다.
'정치교체' 보여주려는 의지 읽혀
국힘 "협치 아닌 통보" 불만 표출
김 지사는 이날도 "여야정 협의체를 통해 정책협치부터 시작해 조금씩 실적을 쌓아가고 싶다. 협치의 목적은 오로지 민생과 경제 활력 불어넣기가 돼야 한다. 민생을 위해 여야가 함께 의논하고 건전하게 정책 경쟁하고 필요한 부분에서 손 맞잡으라고 도민이 도의회에 동수로 의원을 뽑아준 취지"라고 강조했다.
야당의 반발도 거세다. 김 지사가 협치를 이야기하며 협치를 파기했다고 맹비난했다. 지미연 수석대변인은 "협치가 아닌 통보로 철저히 도의회를 무시한 김 지사를 좌시하지 않겠다. 지사가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지영·손성배·신현정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