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찬.jpg
김종찬 지역자치부(하남) 차장
우리나라 국민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국민성이 좋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사회의 불합리한 일이 발생했을 경우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위급상황 발생 시나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에는 국민성이 더욱 많이 발휘된다.

하지만 국민을 시민으로 세분화할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진다. 지리적 여건과 이해 관계 등에 따라 국민성보다 시민성이 더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하남시에서는 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과 서울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 건설사업 관련 문제들이 대표적이다. 서울시와 하남시의 시민성을 볼 수 있는 단편적인 사건들에는 항시 강동구가 등장한다.

지리적 여건상 강동구가 하남시와 접해 있기 때문인데 실례로 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 문제를 들 경우 서울시는 현재 1일 1천t에 달하는 신규 소각장 건립 대상 입지 후보지로 하남시와 인접한 강동구를 거론하고 있다. 서울시는 소각장이 대표적인 도심 혐오시설이다 보니 시민들을 고려, 도시 외곽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물론 강동구는 강력 반발하고 있다. 하남시 역시 강동구가 입지 후보지로 선정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한다는 입장이다.

'서울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 건설 사업'도 마찬가지다. 국민성으로 보면 부족한 주택 공급을 위해 해당 지역에 건설되는 아파트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대가 높다. 하지만 시민성으로 보면 강동구에서 건설되는 공사로 인해 하남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공사현장에서 날리는 비산먼지가 편도 1차선을 사이에 두고 입주가 끝난 하남지역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행정구역이 달라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국민성과 시민성은 주체만 다를 뿐 사전적 의미만 놓고 보면 같다. 오직 관점의 차이는 경계에서 비롯된 지역 이기주의다. 여기에서 벗어난다면 지역별 현안 발생 시 시민성보다는 국민성을 앞세운 해법찾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찬 지역자치부(하남) 차장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