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에 벌이 30% 사라져서 도내 양봉농가 40% 이상이 피해를 받고 있습니다. 경기도의원들은 우리 사정을 모르는 것 같아요."
24년간 양봉농가를 운영해 온 김선희 한국양봉협회 경기도지회장은 올 봄 발생한 '꿀벌 실종사건'으로 예년보다 30~40% 수익이 줄었다. 이상기후 현상으로 봄이 너무 빨리 오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김 지회장은 "월동한 벌들이 봄에 다 망가졌다. 벌통을 까면 벌 없는 벌통이 30%였다"며 "경기도에 여러 번 호소했는데, 도의원들은 모르는 것 같다. 연말까지는 (지원)해주면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당장 8월 안에 벌을 키우지 못하면 내년 농가 생산도 망한다"고 호소했다.
특히 꿀벌 실종사건이 올해 전국 곳곳서 발생했는데,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등은 이미 지원사업이 추진돼 피해가 어느 정도 복구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상기후 영향 "도내 30% 사라져"
도의회 갈등에 복구비 '매칭' 못해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양봉농가 3천39곳 중 1천364 농가가 월동꿀벌이 사라지는 피해를 입었다. 전국적 현상인 만큼 정부에서 피해복구 지원사업을 국·도비 매칭으로 시작했는데, 도의회의 장기 파행으로 인해 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의가 지연, 피해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도 축산정책과 관계자는 "3월에 시군을 통해 조사를 해보니 피해농가가 45%나 됐다. 벌통을 사서 월동시켜 내년 꿀 생산에 투입해야 하는데, 7~9월 농가들이 벌을 키워 번식을 시켜야 내년에 꿀 채즙을 할 수 있다"며 "현재 피해복구사업으로 입식비 약 18억원을 지원해야 하는데, 추경이 더 늦어지면 내년 양봉농가는 더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갈등으로 도의회 파행이 길어지면서 당장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 예산이 제때에 투입되지 못해 서민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다.
양봉농가처럼 정부 지원 예산이 있어도 도비 매칭을 하지 못해 시간만 허비하는 상황이 있는가 하면, 코로나19로 폐업 후 재기하려는 소상공인을 돕는 '소상공인 사업정리지원사업'도 멈춰 있는 등 민생경제 곳곳에서 파열음이 계속되고 있다.
도 소상공인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올해 이미 15억원을 투입해 종료가 됐지만, 현재 고물가·고유가·고금리 등으로 소상공인 폐업이 많아져 지원금을 상향해 추가 지급을 해야 한다. 1천900명이 대상인데, 추경이 늦어져 지원이 미뤄지면 폐업 후 재기하려는 소상공인들이 더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토로했다.
/공지영·고건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