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자립해 생활하려니까 참 막막하더라고요…."
김찬혁(가명·25)씨는 인천의 한 위탁가정에서 자랐다. 찬혁씨는 위탁부모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무일푼으로 독립했다. 학창시절 큰 수술을 받았던 그는 후유증으로 인해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원비도 큰 부담이다. 찬혁씨는 "무엇보다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푸념했다.
인천의 한 아동양육시설(보육원)에서 지난 2018년 퇴소한 장수성(가명·23)씨의 사정도 비슷하다. 수성씨는 어릴 때부터 꿈이었던 웹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아르바이트로 부지런히 돈벌이를 하면서 학원에 다니고 있다. 하지만 140만원 남짓한 월수입으로는 학원비와 생활비를 충당하기 어려웠다. 그는 "먹고 싶은 게 있어도 꾹 참으면서 열심히 공부했는데, 버티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병원·학원·생활비 충당 버거워…
인천 관련 청년 연평균 115명 달해
정부는 지난해 7월 '보호종료아동 지원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보호종료아동은 부모 이혼이나 학대 등의 이유로 위탁가정과 보육원 등에서 지내다 독립한 청년을 뜻한다.
인천에는 이런 청년이 최근 4년간 연평균 약 115명에 이른다고 한다. 정부는 부모 등 보호자의 지원 없이 홀로 삶을 꾸려나가야 하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에 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인천시는 지난 5월 보호종료아동을 돕는 '인천시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립했다. 현재 한국아동복지협회 인천지부가 인천시로부터 위탁을 받아 이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찬혁씨와 수성씨는 최근 인천시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 생계비 등을 지원받았다. 찬혁씨는 이곳에서 상담을 받고 전문대학 진학도 꿈꾸고 있다.
5월 설립이후 경제지원에 상담도
지자체·시설 협력체계 구축 계획도
보호종료를 앞둔 아이들이나 보호종료된 지 5년이 넘지 않은 청년은 인천시자립지원전담기관의 심사를 거쳐 교육훈련비, 생활비, 긴급 의료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취업, 심리 상담 등도 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 등이 일일이 지방자치단체에 보호종료 예정인 아이들의 자립 수당을 신청해야 했다. 아동양육시설에서는 이를 전담할 인력이 부족해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없었다고 한다. 위탁가정에선 이런 정보를 몰라 보호종료아동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일이 생기기도 했다.
우치호 인천시자립지원전담기관장은 "앞으로도 인천시를 비롯한 각 군·구와 아동양육시설, 인천가정위탁지원센터 등과 협력해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자립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자립을 준비 중인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고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돕겠다"고 말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