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출몰하는 돌발해충에 대해 무분별한 방제(8월4일자 7면 보도=늘어나는 벌레 떼… 무분별한 방제 작업, 괜찮을까?)가 아닌 곤충과의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제기됐다.
올해 고양 등 일부 지역에서는 러브버그로 불리는 자생종 털파리가 나타났다. 혐오감을 준다는 이유로 시민들은 민원을 제기했고 지자체는 방제 작업을 진행했다. 나뭇잎을 갉아먹어 해충으로 분류되는 대벌레는 지난해 군포에 이어 고양 곳곳에도 자리를 잡았다.
무분별한 곤충 방제 역풍 우려
습성에 따라 매뉴얼 차이 둬야
관련정책 논의 기구 구성 필요
이런 상황 속 무분별한 곤충 방제를 우려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생태계는 항상성이 깨지면 병들게 되는데, 특정 종이 사라지면 자칫 생태계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도 내 한 방제 담당자는 "곤충 방제에 대한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살충제 농도 등 거주지 인근 방제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대응책을 만들거나 곤충 관련 정책을 논의하는 협의체가 꾸려지면 좋을 것 같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전문가들은 방제 이전에 곤충에 대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영식 곤충생태교육연구소 대표는 "곤충에 대한 생태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한국은 기후 변화 속도가 다른 국가보다 3배 이상 빠른 것으로 알고 있다. 곤충 습성에 대한 이해가 먼저이고 전문가 협의체를 만드는 등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영철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무분별한 방제는 또 다른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곤충 생태 습성에 따라 방제 도구, 약제 희석 농도, 살포 방법 등에 차이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사용되는 약제는 모기와 파리 등을 대상으로 한 살충제여서 농도가 다소 진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변혜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은 "문제는 벌레가 도심으로 유입돼 발생한다"며 "장기적으로는 산림과 주거시설 간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내용의 법령 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