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산업 활성화를 위해 현재의 방역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방역 정책의 효과가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정부의 방역 정책이 세계 각국과의 항공 산업 경쟁에서 국내 항공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韓, 입·출국 여행객 이전 30% 수준
'해외여행 회복속도에 악영향' 지적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해외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여객은 항공기에 탑승하기 전 코로나19 음성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 입국 후 24시간 이내에 PCR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이는 코로나19의 해외 유입을 막고, 유입됐다고 하더라도 국내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이처럼 강도 높은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과 일본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미국이나 유럽 주요 국가들은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방역 정책을 완화했고, 여객 수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100% 수준으로 회복했다는 것이다.
반면 국내는 해외여행 회복 속도가 더디다. 코로나19 이전 인천공항을 통해 입·출국한 해외여행객은 하루 평균 19만명 규모였으나 현재 입·출국 여행객은 코로나19 이전의 30% 수준인 6만명에 불과하다.
국내 해외여행 속도가 더딘 데에는 국내 방역 정책이 주된 영향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방역 정책의 효과도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입국 항공기 탑승 전 코로나19 검사와 관련해서는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베트남에 다녀왔다는 A씨는 "공항에서 신속항원 검사를 진행하긴 하지만, 면봉을 코 주변에만 묻히고 검사를 하는 등 허술하게 진행했다"며 "검사를 철저히 진행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美·유럽은 완화… 100% 수준 회복
"상황 지속되면 경쟁 뒤처질 우려"
이 같은 방역체계가 가동되고 있지만 입국자 대비 코로나19 감염자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지난 7월 1일 인천공항 입국자는 2만2천480명, 8월 1일에는 3만2천44명으로 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코로나19 해외 유입 사례는 173명에서 568명으로 228% 증가했다. 입국자 증가폭보다 해외유입 감염자의 증가폭이 더 큰 것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국토교통부 등이 이 같은 이유로 질병관리청에 방역 정책의 개선을 요청하고 있지만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방역정책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방식은 방역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항공산업 활성화를 고려한 새로운 방역 정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항공 산업은 세계와 경쟁하고 있는데, 이 같은 상황이 지속하면 국내 항공 산업이 뒤처질 우려가 있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