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 한 산업단지에서 회사를 운영 중인 A씨는 급한 회사 자금을 빌리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에서 '법인자금 긴급대출'을 이용했다. A씨는 성실하게 대출업체에 원금과 이자를 합해 4회에 걸쳐 갚았지만 업체 측은 "전부 갚지 않았다"는 이유로 폭행을 했다.
A씨는 경기도가 운영 중인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통해 피해 신고를 했고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특사경)은 경찰에서 수사 중인 폭행 혐의 외에 대출업체 미등록 대부에 대해 내사 중이다.
도 특사경은 지난달 4일부터 이달 3일까지 약 한달간 도내 전통시장·상점가 14곳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운영했다. 한달간 상담건수는 무려 1만1천180여 건. 수많은 소상공인과 영세기업이 사채를 쓰며 피해를 입고 있는 셈이다.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는 불법사금융 피해 우려 지역을 직접 찾아가 피해 상담부터 신고, 구제 절차 안내 등을 수행한다.
경기도특사경, 상담소 14곳 운영
구제 안내… 대처 요령 홍보물도
폭행 수사 외 미등록 대부 내사중
이번에 도 특사경이 찾아간 곳은 산업단지 7곳(안산반월도금, 화성발안, 성남일반산업, 평택송탄, 김포양촌, 의정부용현, 안성일반 산업단지)과 전통시장 7곳(의정부제일, 양주덕정, 안성맞춤, 여주한글, 이천관고, 오산오색, 김포통진 전통시장) 등이다.
도는 피해 상담을 통해 직접 피해를 상담했고 실제 피해 접수 및 경찰 등 신고, 구제 절차 등을 안내했다. 실제 피해가 확인된 경우 경기도 서민금융지원센터를 통한 '극저신용대출' 등을 안내하고 피해 유형과 대처요령 등을 담은 홍보물도 배부했다.
실제로 도내 B 산업단지에서 30여 년 일했다는 한 업체 관계자는 "근처 회사들은 예전에 어음으로 어렵게 버텼는데 요즘에는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이자가 높더라도 사채를 쓰고 있다"고 상담했다. 이 관계자는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 직접 사업장을 방문한 경기도 특사경에 감사하다"는 뜻을 전하기도 했다.
김민헌 경기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장은 "앞으로도 찾아가는 불법사금융피해상담소 운영을 통해 불법사금융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예방하고 불법사금융행위는 끝까지 발본색원하겠다"고 말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