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는 2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토부가 발표한 8·16 부동산 대책 중) 1기 신도시 문제에 대해 2024년 마스터플랜을 짜겠다는 말 한마디만 했다. 그래서 SNS를 통해 경기도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말한 것"이라며 "(이후) 윤 대통령이 최대한 당기겠다고 응답했다. 다시 말하면 문제제기를 통해 대통령이 앞당기겠다고 한 것이 성과"라고 설명했다.
언론사 인터뷰서 '1기 신도시' 정쟁 언급
"SNS 통해 경기도 차원 노력 말한 것"
이후 대통령실비서관 해명 나서 '성과' 주장
중앙정부-경기도-지자체 협력 해결 강조
앞서 지난 19일 김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실상 대선 공약 파기다. 정부와 별개로 경기도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반발이 커지자 이날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이 브리핑을 열고 "윤석열 정부의 공약과 대통령의 약속대로 최대한 빠른 속도로 1기 신도시 재정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해명하며 진화에 나섰다."SNS 통해 경기도 차원 노력 말한 것"
이후 대통령실비서관 해명 나서 '성과' 주장
중앙정부-경기도-지자체 협력 해결 강조
하지만 1기 신도시 집값이 하락하는 등 후폭풍이 거센 상황. 23일 원 장관은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하루도 지체되는 일 없도록 직을 걸고 추진하겠다"며 "9월에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연구용역 추진과정에서도 수립시기를 2024년 상반기든, 한달이든 최대한 당겨달라고 요구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원 장관은 김 지사의 비판에 대해선 "경기지사는 신도시 재정비에 대한 아무런 권한이 없다. 도시정비 기본계획 수립과 지구지정, 안전진단 실시, 조합설립·사업계획 인가, 준공 처리 등이 모두 (도지사가 아닌) 시장의 전적인 권한인데 뭘 하겠다는 것인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 주민들이 정책에 불만을 제기하는 것을 틈타서 정치적으로 공약 파기로 몰고 가고 경기도가 해주겠다고 하는데 무지하고 무책임한 정치적인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정부와의 협력을 강조하며 "1기 신도시 문제는 중앙정부 뿐 아니라 경기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주민들이 모두 힘을 합쳐 해야 하는 일이다. 누가 일방적으로 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앞으로 경기도는 5개 신도시 단체장과 시의원, 도의원은 물론 전문가와 시민을 포함해 TF를 운영하고 경기주택도시공사(GH)를 통해 1기신도시 재정비와 관련된 용역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의원들과도 협력해 '1기신도시 특별법'이 제정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한 김 지사는 1기 신도시 재정비와 함께 도내 노후화된 원도심 문제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1기 신도시 문제도 심각하지만 원도심의 노후화 문제도 간과돼선 안된다. 경기도는 노후 원도심 문제도 함께 보고 있다"고 밝혔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