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선수의 대회 참가와 관련된 스포츠혁신위원회의 권고가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지적(2월14일자 1면 보도=[경인 WIDE] 틀에 맞춘 학생선수 '학습권 보장'… 체육계 "현실 모른다")이 이어지자, 문화체육관광부가 제도를 보완 개선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스포츠혁신위는 지난 2019년 6월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출석 인정 일수 축소 및 학기 중 주중대회 금지(교육부) ▲학기 중 주중 대회의 주말 대회 전환(문체부) ▲소년체전 개편(문체부·교육부) 등을 권고했다.

이 같은 권고에 학생 선수·학부모·전문가·체육인들은 현실이 반영되지 않은 권고로 학생 선수가 학교를 다니면서 선수 활동을 할 수 없다고 끊임없이 문제를 지적해왔다.

실제 탁구의 신유빈 선수와 김나영 선수는 고교 진학을 포기했고, 최근 윔블던테니스 대회 14세부 남자 단식에서 우승한 조세혁 선수도 학교 수업과 국제대회 참가를 병행하기 어려워 중학교를 다니지 않고 있는 등 부작용이 심각한 상황이다.

경기장 확보 등 현실적 여건이 따르지 않아 주중 대회를 주말 대회로 전환하기도 어려워 비판이 이어졌다. 


혁신위, 주중대회 금지 등 추진
일부 학생들 학교 자퇴 부작용
문체부, 의견 수렴… 개선 노력


이에 문체부는 지난 6월부터 스포츠혁신위 권고의 실효성과 부작용을 점검한 결과, 관련 권고가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하고 보완·개선책을 빠른 시간 내에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학생 선수와 체육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학사운영과 관련된 부분은 교육부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학교체육 정책협의체'를 통해 협의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현장 의견을 듣고 실태를 정밀하게 살펴보니 스포츠혁신위의 권고 취지와는 달리 현실에 맞지 않았던 부작용이 있었다"며 "학교체육 정책이 정상화되도록 노력하겠다. 학습권과 운동권을 조화롭게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