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몽선습'은 인쇄본과 필사본 등 수량이 많아 아직은 마음만 먹으면 구할 수 있는 책이다. 30여년 전만 해도 인사동 고서점에 나가면 '동몽선습'에 '통감', '서사삼경' 등은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책들이었다. 지금은 귀한 대접을 받는 '박통사 언해' 등도 수북이 쌓아놓고 권당 1만원 헐값에 판 적도 있었다. 그때는 주로 TV 사극이나 영화 소품용으로 이런 책들이 많이 팔려 나갔다. 과외선생과 시간강사로 일하면서 필요한 책들을 사고 용돈이나 충당하던 시절인지라 이런 흔한 책들에까지 미처 손이 갈 여유는 없었다. 만일 30년 전 그 당시로 돌아간다면 열일을 제쳐놓고 몽땅 구입했을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가장 오래된 교과서
누가·언제 저술했는지 아직 밝혀지지않아
'동몽선습'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가 있다. 누가, 언제 저술했는가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자는 중종 때 군자정(軍資正)을 역임한 박세무(朴世茂)라고 알려져 있지만, 일각에서는 인조 때 나온 '해동문헌총록'의 김안국(金安國)의 저작이라는 기록을 근거로 김안국을 저자로 내세우기도 한다. 서지학자 남애 안춘근(1926~1993) 선생은 1543년 윤인서(尹仁恕)가 쓴 발문에 저자가 민제인(閔齊仁)으로 기록되어 있는 판본을 근거로 민제인 저작설을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는 박세무 저작설에 민제인·김안국 등의 저작일 가능성을 함께 언급하는 방식으로 논란이 봉합(?)돼 있는 상황이다.
안춘근 선생을 처음 알게 된 것은 한국학중앙연구원(당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 재학할 당시인 1980년대 말인데, 연구원 장서각에 '안춘근 문고'라고 해서 별도로 자료들이 보관되어 안춘근이란 분이 누구인지 매우 궁금했던 적이 있었다. 웬만한 인문학 분야의 교수들은 다 알고 있었는데 처음 들어본 생소한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고서 분야에 조금 눈을 뜨고 나서 안춘근 선생이 매우 유명한 서지학자였음을 알게 됐다.
그 뒤 세월이 한참 흘러 마침내 귀한 '동몽선습' 한 권을 소장하게 됐다. 이 책은 지금 내가 근무하는 지혜샘어린이도서관 1층 로비에 전시 중인데, 책의 구조와 활자의 형태로 보아 조선 후기의 목판으로 인쇄된 것이나 제책 연대는 대정 3년 10월(1914년) 경성(서울)에서 출판된 것으로 돼 있다. 이용자들이 가장 관심을 보이는 책이 김산호 화백의 SF만화 '정의의 사자 라이파이'와 '소년 중앙' 그리고 '동몽선습'이다.
언어능력·사고력 키우는데 책만한게 없어
옛 지식과 선인들의 지혜 이어주는 가교역
옛 책에 대한 이런 관심이 한편으로는 반가우나 책이 흔해진 요즘 오히려 국민들의 책에 대한 관심이나 독서량은 책이 귀하던 시절보다 못한 것 같다. 유튜브 등 다양한 볼거리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들이 많아졌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 전문서적이나 인문서적의 대부분은 도서관 등 공공기관에서 구입해 주기에 겨우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능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데는 책만한 것이 없다. 책은 옛 지식과 선인들의 지혜를 현재와 미래로 이어주는 정신의 가교이며 독서는 개인의 역량을 키우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다.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들처럼 우리 모두는 '함께' '홀로' 살고 있다. 고독이 불청객처럼 느닷없이 찾아오거나 위로가 필요할 때를 대비하기 위해 한 두 개의 취미를 꼭 가질 필요가 있다. 나는 책에서 위로를 받고 힘을 얻는다. 마음속으로 책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마음이 풀리고 기운이 난다. 얼마 전에는 '동몽선습'과 한참 대화를 주고받았다.
/조성면 객원논설위원·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