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도심항공교통(UAM) 이착륙장 조성 등 인프라 구축에 집중한다. 대도시권 교통난을 해소하고 물류·의료·관광 등 여러 분야와 연계 가능한 UAM 산업 상용화에 대비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인천로봇랜드, 아라뱃길 등을 잇는 30㎞ 구간을 중심으로 UAM 실증 노선을 구축하기 위해 임시 이착륙장 조성과 공역·항로 설계 등을 추진하고 있다.
UAM은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활용해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미래형 항공교통 체계다. UAM 이착륙장은 주기장을 갖춘 소형·중형 이착륙장과 충전·정비·부대시설이 갖춰진 대형 이착륙장으로 나뉜다. 소형·중형 이착륙장은 상대적으로 부지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에 교통 수요가 밀집한 지역에 조성할 수 있다.
인천시는 실증 노선 구간에 임시 소형·중형 이착륙장을 조성하고자 부지 확보에 힘쓰고 있다. 후보지는 서구 청라동 일원과 드론인증센터다. 인천시는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UAM 이착륙 공간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착륙장은 UAM 운항에 필요한 기본 인프라 중 하나다. 이착륙장은 이용객 탑승이 이뤄지는 정류장 역할을 하기 때문에 UAM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제도 마련과 함께 주요하게 추진되는 분야다. 서울시는 최근 수립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UAM 인프라 확충 방안을 포함하기도 했다.
노선 용이성·수요 조사후 도출
지원설비~운항체계 단계별 추진
인천시는 실증 노선 외에도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대상으로 UAM 수직 이착륙장 후보지를 찾고 있다. 올해 연말까지 이착륙장간 연계 교통·접근성을 따져보는 것은 물론, UAM 노선 설정 용이성과 이용 수요를 검토해 후보지를 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국토교통부가 2025년부터 인천공항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이착륙장을 설치하겠다고 밝힌 만큼, 인천공항 접근성이 좋은 곳을 중심으로 후보지를 찾겠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2024년까지 UAM 실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착륙장 등 인프라 구축과 UAM 비행환경 검증, 기술개발 등을 지원한다. 2025년에는 실증 플랫폼과 교통관제, 개발기술 고도화 등을 실현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단계별 사업이 추진되면 UAM 이착륙장 지원 설비부터 공역 설계·관리, 교통·운항 체계 등 UAM 운용에 필요한 환경이 갖춰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UAM 이착륙장은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다"며 "정부정책과 연계해 UAM이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