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무-소장.jpg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조선의 대표적인 학자는 퇴계선생과 율곡선생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유학자이자 성리학자로서는 이론의 여지없이 그 두 분을 거론하는 것이 상식이다. 율곡선생은 비록 태어나기는 강릉의 외가였지만 선대의 고향이자 생애의 활동무대는 경기도 파주의 율곡리였다. 그래서 호가 율곡이고 경기도 출신임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래서 율곡은 조선 유학의 양대 학파인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에서 기호학파의 종장으로 추대, 학자들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학자였다.

퇴계는 70세까지 사셨지만 율곡은 비록 49세라는 길지 않은 생을 사셨으면서도, 높은 덕행과 깊은 학문으로 참으로 많은 학술적 업적을 남긴 저술가였다. 그 모든 저술 중에서도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1권으로 된 책은 조선의 학생으로서는 반드시 읽어야 했던 필수과목의 교과서로서의 구실을 하였다. 당파싸움이 그치지 않고 이어지던 시대에서, 혹 율곡의 후학들과 다른 당파에서는 반드시 교과서로 채택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겠지만, 대체로 그런 경향이었음은 분명한 사실이었다. 우리 조부님이 생존해 계실 때는 우리 사랑방이 마을의 서당이어서, 나를 포함해서 많은 학동들이 격몽요결을 열심히 배우고 있었다. 초등학교 6학년까지 고향에서 자랐던 이유로 그 무렵까지 격몽요결을 배워서 외우기에 열중하던 기억을 잊을 수 없다. 중학교부터 도회지로 나가는 바람에 할아버지의 슬하를 떠났기 때문에 계속 한문을 배우지 못했지만, 나의 한문 실력의 기초는 대부분 격몽요결을 배우면서 얻어진 결과였다.  


성현들 경전 읽어야 마음·뜻 알고
착한 일 악한 일 구별할 수 있기에
책 안 읽고선 사람노릇 못한다는 뜻

 

책이 책상 위에 놓여있어 요즘도 격몽요결을 자주 읽어보는 때가 많다. 주말에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 때에는 어김없이 그 책을 읽을 때가 많다. 며칠 전에도 10장으로 구성된 그 책의 한 장씩을 읽어보면서 시간을 보냈다. 제4장이 독서장(讀書章)인데, 읽으면 읽을수록 맛이 깊어지고 의미가 새로워지는 기분을 느낄 때가 많다.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율곡의 말씀이 너무 좋다. "배우는 사람이란 언제나 책을 읽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여타의 일로 그런 생각을 빼앗기지 않아야 한다. 책을 통해 이치를 궁구하고 착한 일이 어떤 것인가를 밝혀야만 마땅히 행해야 할 도리가 밝게 보여져 진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이유로 도에 들어가려면 궁리보다 먼저 할 일이 없고 궁리는 독서보다 먼저 할 일이 없다. 독서를 통해 궁리해야만 성현들의 마음씀 '용심(用心)'의 자취와 착하고 악한 일의 본받고 경계할 일이 모두 책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책을 읽을 수밖에 없다"라고 명쾌한 답변을 내려주었다.
 

성인이나 현인들의 마음, 즉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하는가는 성현들의 경전을 읽어야만 알 수가 있고, 착한 일은 어떤 것이고 악한 일은 어떤 것인가를 책을 통해 알아야만 해야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책을 읽지 않고서는 사람다운 사람 노릇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율곡의 뜻이었다. 참으로 옳은 주장이다. '논어'를 읽어야 공자라는 성인이 어떤 생각을 하였고 어떤 마음으로 삶을 살았으며, '맹자'를 읽어야 맹자의 마음과 생각을 알아내서 옳고 그름을 구별하며, '성경'을 읽어야 예수의 깊은 사랑에 대한 마음과 뜻을 알아낼 수 있다니 참으로 옳은 주장이 아닌가.

그러면서 율곡은 '소학'부터 읽고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두루두루 읽어서 요순시대를 만들려 했던 공자와 맹자의 본질적인 생각을 알아내야 한다고 했다. 또 어떻게 살아야 인간다운 삶이 되고, 어떻게 살아야 나라와 국민을 위하는 길이 되는가에 대한 이야기도 빠뜨리지 않고 해주었다.

어떻게 살아야 인간다운 삶이 되고
국민위한 길이 되는가 빠뜨리지 않아

이제 세상은 변해 버렸다. 갈수록 책 읽는 사람은 줄어들고 출판사는 문을 닫아가고 책방은 파리나 날리는 세상으로 변해간다. 책을 읽지 않고는 당연히 행해야 할 도리가 무엇인가를 모르는데, 책을 읽지 않는 사람만 늘어가니 어떻게 될 것인가. 고전을 읽어야 함이 당연한 일이지만, 신간의 명저들도 읽을수록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 율곡의 권유대로 열심히 책 읽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