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8.jpg
인천의료원의 올해 전문의 결원율은 1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기준 모집정원 49명 중 8명을 채우지 못한 상태다. 2022.10.07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인천의료원이 전문의를 제대로 수급하지 못해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에 공백이 생기고 있다.

김원이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지방의료원 의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지방의료원 35곳 중 26곳이 의사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2018년 7.6%였던 전국 지방의료원 결원율은 올해 14.5%로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인천의료원의 올해 전문의 결원율은 1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기준 모집정원 49명 중 8명을 채우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 인천의료원의 결원율은 20.4%를 기록했다. 인천시와 인천의료원은 전문의 평균 연봉 개선에 나섰는데, 지난해 인천의료원 전체 전문의 평균 연봉은 1억7천만~1억8천만원으로 민간병원의 60% 수준이었다. 올해 상반기에는 2억원 정도(민간병원의 80% 수준)로 연봉을 올렸다. 그 영향으로 결원율이 4%p가량 상승하긴 했지만, 연봉 인상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인천시와 인천의료원 설명이다. 

임금 1년만에 민간병원의 60→80%
'공공임상교수제' 도입 지원자 없어

인천시와 인천의료원은 교육부가 최근 도입한 '공공임상교수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공공임상교수제는 10개 국립대병원이 150여 명의 공공임상교수를 선발해 국립대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공공의료기관에 배치하는 사업이다. 쉽게 말해 국립대병원 소속의 정년보장(정년트랙) 정규 의사이자 공공병원 전문의로 일하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이 역시 현재까지 인천의료원 지원자는 없다.

인천의료원의 구인난이 지속하는 데에는 구조적 문제가 작용했다는 게 의료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성희 건강과나눔 상임이사는 "인천의료원이 코로나19 환자를 전담하면서 전문의 결원율이 특히 높아졌다"며 "코로나와 관련 없는 과목의 의사들은 환자가 없는 경우가 생기면서 전문성 등의 이유로 이직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의대 정원은 한정돼 있는 반면 수도권에 민간 대학병원은 계속 생겨나는 등 민간병원의 수가 너무 많다"며 "공공병원의 임금을 올려도 민간병원보다 낮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k3.jpg
사진은 인천 동구에 있는 인천시의료원 전경. /경인일보DB

인천의료원 전문의 정원을 종합병원 수준까지 늘려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임준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진료 과목별 전문의가 여러 명일수록 공동 협진이 가능하고, 중증 수술에 도전하는 기회도 많아진다. 의사가 많을수록 병원의 수준이 높아진다"고 했다. 이어 "의사 정원을 충분히 확보해야 당직 등의 문제도 해결되고, 의사끼리 커리어를 쌓으며 이직률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의 정원 종합병원 수준 늘려야
공동협진 커리어 이직률 낮출 수있어

공공병원의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자체 차원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공공병원은 개인병원처럼 급여만으로 의사를 수급할 수 없다. 공공적인 논리에 의한 시스템으로 의사가 공급되게끔 하는 게 중요하다"며 "대학병원과 연계된 시스템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공의료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에 가장 중요한 권한이 있다"며 "인천시가 적극적으로 지역 대학병원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일단 공공임상교수제와 관련해 서울대병원과 중앙 쪽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를 요청할 생각"이라며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인천의료원이 일할 만한 곳이라는 인식이 생길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더 고민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