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지원이 종료되는 '경기도 소부장 자립화 연구지원사업'을 통해 도내 소부장 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의 토대가 마련됐다. 도내 모든 소부장 기업에 지원 혜택이 돌아간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소부장 기업의 니즈(needs)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체득하는 노하우를 쌓은 계기였다.
또 이같은 과정이 없었다면 국가가 지정하는 소부장 특화단지 사업 중 경기도가 '반도체 특화단지'로 선정되는 결과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어렵게 쌓아올린 성과로 올해부터 시작된 경기도 반도체 특화단지 사업은 단계별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게 급선무다.
반도체특화단지 사업을 주도하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하 융기원)의 목표는 수요연계형 반도체 기술지원 공공 융합플랫폼을 만드는 일이다.
특화단지 단계별 '테스트베드' 우선
소부장·앵커社 '장비공동개발' 공유
먼저 소부장 기술을 필요로 하는 앵커기업과 연계해 앵커기업이 원하는 소부장 기술을 개발·분석은 물론, 성능을 인증하는 '내재화인증센터'를 구축해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반도체 소부장과 앵커기업이 함께 '장비공동개발지대'를 형성, 함께 필요한 기술을 연구하고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융기원이 있는 수원 광교에는 요소기술 인증테스트베드(1단계)를, 국내 최대 반도체 기업들이 입주 예정인 용인 원삼면엔 양산기술 인증 테스트베드(2단계)를 구축해 연계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는 이들 간 성능평가 결과를 협의하기 위한 기구를 운영, 실제 생산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결국 실제 시장이 필요로 하는 소부장 기술을 개발하고, 수요기업들과 함께 개발한 기술의 성능을 인증해 신뢰성을 높이면 상용화의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를 토대로 융기원은 수요-공급 기업 간 기술개발 연계 성능인증 체계를 수립하면, 특정 수요기업 뿐 아니라 반도체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기술로 성장하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
광교·원삼면에 요소·양산기술 연계
전략 이끌어갈 '인력 확충'도 중요
이를 위해선 기반 구축이 최우선 과제다. 융기원은 분석장비 등 필요한 장비를 구축하고 현재 융기원 내에서 운영 중인 클린룸 및 오픈랩을 확장해 더 많은 기업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기업들이 아예 입주해 분석장비를 활용하고 기술개발을 할 수 있도록 기업입주시설도 최대 약 330.5㎡까지 공간을 확보할 예정이다. 예산 및 공간 확보만큼 중요한 것은 이러한 추진 전략을 이끌어 갈 '인력 확충'이다.
융기원은 반도체 소부장 연구사업단의 역할을 확대 개편해 반도체 소부장기술 혁신사업단을 구성, 내재화변경인증센터, 반도체기술혁신센터, 반도체산업협력센터 등 3개 센터를 둔다. 또 2024년까지 전임연구원 및 위촉 연구원 등 연구인력을 확충해 원활한 기술개발 및 인증을 위한 지원을 해나갈 계획이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