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1801000658800030992.jpg
인천 신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정부가 세계 경제 침체로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해운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3조원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4일 비상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시황 변동에 따른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보고했다고 6일 밝혔다. 해수부는 해운산업 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과제로 ▲국적선사 경영 안전판 마련 ▲해운시황 분석·대응 고도화 ▲해운산업 성장기반 확충 ▲친환경·디지털 전환 선도 사업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국적선사 경영 안정, 1조원 펀드
한국형 컨 운임지수 개발·공표도


우선 국적선사 경영 안정화를 위해 최대 1조원 규모의 위기대응 펀드를 조성하고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조선사를 대상으로 투자·보증 요율을 대폭 인하(2천500억원 규모)할 계획이다. 선사의 유동성 위기 발생시 신속한 지원을 위한 5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위기 발생에 대한 사전 감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선종, 항로, 규모 등으로 선사를 세부 구분해 군(群)별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해운시황 분석에 활용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한국의 해운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판단 하에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를 개발했으며 이달부터 매주 공표할 방침이다.

소규모 화주의 안정적 수출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적 선사와 업종별 화주협회 간 장기운송계약 체결도 지원한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중소 화주들이 최대 30%의 물류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해수부는 또 급변하고 있는 세계 물류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공공·민간 선박 528척을 순차적으로 친환경 선박으로 바꾸고 저탄소·무탄소 선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올해 들어 해상 운임이 67% 하락하는 등 해운산업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며 "정부는 제2의 한진해운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운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