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2지구
사진은 구월2지구 예정 부지 일대. /경인일보DB
 

정부의 3차 공공택지로 지정된 '인천 남동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인천도시공사(iH)가 개발 구역 인접 구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적정 공급 규모 등도 세밀하게 분석할 계획이다.


iH는 내달부터 '인천구월2 공공주택지구 원주민 지원대책 및 주변 지역 상생방안 수립 용역'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20일 밝혔다.

인천시의회는 지난달 주택 물량 과다 공급, 구도심 공동화 우려 등을 이유로 구월2지구 조성사업에 대한 동의안 심사를 보류했다. 이에 따라 iH는 시의회에서 제기한 주요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실질적 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인천 중심부에 '미니신도시급' 여파
iH, 내달부터 상생방안 찾기 용역


구월2지구는 인천 남동구 구월동·남촌동·수산동을 비롯해 연수구 선학동, 미추홀구 관교동·문학동 일대 220만㎡ 부지에 1만8천가구를 공급하는 '미니 신도시급' 개발 사업이다.

인천시의회는 서울과 인접한 인천 북부권이 아닌 인천 중심부 한복판에 건설되는 구월2지구 조성사업은 인근 구도심 인구를 흡수해 기존 주거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구월2지구 아파트 공급 시기인 2029년에는 공급이 수요보다 많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파트 공급 과잉으로 미분양 사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iH는 구월2지구 조성 단계에서 건설되는 도로와 학교를 포함한 도심 기반시설과 각종 편의시설 등을 개발 지역에 인접해 있는 구도심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개발계획 수립 과정에서 도심 기반시설과 편의시설 배치를 구도심과 연계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신도시 건설로 인한 낙수 효과를 구도심까지 누릴 수 있게 한다는 게 iH 전략이다.

'낙수효과' 기반·편의시설 등 검토
'공급 과잉' 우려에 경제성 분석도

주택 공급과 수요 불일치 우려에 대해서도 용역을 통해 세밀하게 분석할 방침이다. 공급 규모와 관련해서 iH는 구월2지구 주변에서 진행되는 각종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민간 아파트 분양 시기 등을 1차적으로 검토한 결과 공급 과잉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지만, 더 세밀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 경제성을 따져볼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와 iH는 애초 올해까지 구월2지구 사업에 대한 지구 지정 절차를 끝마친다는 계획이었지만 이런 문제점 등을 보완한 뒤 내년 상반기 지구 지정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iH 관계자는 "시의회에서 지적한 여러 문제점을 보완한 뒤 지구 지정을 위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내년 받을 예정"이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