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철_-_수요광장.jpg
이영철 협성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
#1. 대통령 전용기에 MBC 기자의 탑승이 불허되었다.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 대통령의 설명이다. MBC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반발했다. 언론의 악의적 보도에 대한 대통령의 감정은 공감할 수 있다. 그러나 대통령의 조치는 이해하기 힘들다. 윤 대통령은 특히 자유를 강조해왔다.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처사로 비쳐질 수 있다. 정부를 공격하는 쓸데 없는 빌미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MBC 기자가 전용기에 탑승하지 못해서 국민들의 알권리가 위축되었다는 불만은 들리지 않는다. MBC 메인 뉴스의 시청률도 큰 변화는 없었다. MBC 사장은 자신의 정견을 종종 공개적으로 표현한다. 2021년에는 광화문 보수집회 참여자를 '맛이 간 사람들'이라고 공격했다. 2019년 보도국장 때는 조국 전 장관 지지 집회 참가자 수를 '딱 보니 100만명'이라고 방송에서 버젓이 말했다. MBC 종사자들은 보수 정권을 공격하는 것이 공영방송의 임무로 착각하는 듯하다.  

 

MBC는 인터넷방송이 아니다. 국민의 재산인 전파를 이용하는 지상파방송이다. 공적 책임이 부여된다. MBC는 이중적이다. 그들은 한편으로 공영방송이라고 주장한다. '당파적 공영방송'이란 말을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들어본 적이 없다. 다른 한편으로 자신들이 광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민간방송이라고 말한다. MBC의 보도 태도는 일종의 시장세분화 전략일 수도 있다. 특정 정파를 고정 시청 대상으로 확보하여 최소 시청률을 유지한다. 이른바 좌파상업주의다.

MBC를 '아예 안 본다'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MBC 논조에 반대하는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MBC를 공영방송이라 할 수 있을까. MBC는 정체성 위기에 빠져있다.

MBC, 국민 재산인 전파 이용하는
'공적 책임있는' 지상파 방송이다
YTN, 노조가 회사 중심 '노영방송'


#2. 정부는 공기업이 보유한 YTN 지분 매각 방침을 발표했다. YTN은 뉴스 전문채널이다. 1995년 케이블TV의 도입으로 탄생했다. 출범 당시에는 연합통신이 대주주였다. 사업 초기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사업부진으로 적자가 누적됐다. 특히 IMF 사태로 자본이 잠식되어 존폐가 위태로워졌다. 이때 구원 투수로 등장한 것이 공기업이다. 연합통신의 지분을 한전의 자회사인 KDN이 인수했다. 이후 증자(增資)를 통해 YTN의 재무상황은 건전해졌다.

정부의 공기업 지분 매각 발표 이후, 코스닥에 등록된 YTN 주가는 상승했다. 시장(市場)에서는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YTN 노조의 의견은 다르다. 언론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공기업 지분을 매각하면 정부 간섭이 줄고, 민간이 참여하면 경영 효율성은 높아진다. 그것이 언론자유와 무슨 관련이 있을까.

원래 공기업은 YTN에 관심이 없었다. 당시 김대중 정부의 방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참여했다. 운영에는 특별히 관여하지 않았다. 그 결과 재정상황은 개선되었고 소유주의 통제는 느슨해졌다. 종사자 입장에서는 최고의 작업환경이 만들어졌다. 주주의 무관심, 일시적으로 머물다가는 경영진 사이에서 노조는 회사의 중심 세력으로 부상했다. 소위 말하는 '노영(勞營)'방송이 된 것이다. 노조 입장에서는 현재가 최선이며, 이 상태의 유지를 당연히 바란다. 그들은 이를 '언론자유'라고 말한다. 물론 '밥그릇 지키기'라며 싸늘하게 바라보는 외부 시선도 존재한다.

이들 타방송 비해 책임 더 막중한데
다수 편향성 느끼면 '공정'으로 못봐


#3. MBC와 YTN은 모두 보도와 해설, 논평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서 이들의 책임은 다른 방송에 비해 더 막중하다. 그러나 '유튜버'들은 다르다. 정치 유튜버들은 일방적 주장을 아무런 구속 없이 퍼뜨린다. 유튜브 이용자는 자기 생각과 일치하는 뉴스는 수용하지만 다른 의견은 배척한다. 그 결과 사회의 분열과 갈등은 증폭된다. 그러나 방송은 유튜브가 아니다. 대다수 시청자가 편향성을 느낀다면 공정한 방송이라 할 수 없다. 인터넷의 등장 이후 방송의 영향력은 쇠퇴하고 있다. 그렇다고 방송 뉴스가 특정 정파와 집단의 의견과 이익만을 대변해서는 곤란하다. 방송 뉴스는 공정과 객관, 불편부당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그것이 방송의 공적 책임이다. 공적 책임을 다함으로써 방송의 존재 이유를 시청자에게 어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이영철 협성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