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 19 확산을 막으려 강력한 방역정책을 펼쳤다. 사회적 거리 두기다. 음식점과 유흥업소는 영업시간이 제한됐고, 4명 넘는 인원은 함께 모여 밥을 먹을 수 없었다. 백신 접종도 정부가 강제했다. 1·2차 접종을 한 시민들만 다중집합 장소에 출입할 수 있었다. 미 접종자는 사회에서 격리됐다.
정책에 대한 불신, 불만이 폭발했다. 자영업자들은 영업시간과 인원제한이 방역에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뭐냐고 따졌다. 지하철과 버스는 왜 인원제한을 두지 않느냐는 비판이 거셌다. 백신 접종 뒤 사망하거나 이상 증상에 시달린다는 신고가 폭증했다. 그런데도 정부는 "백신이 가장 효과적인 방역 수단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독려했다.
올 상반기 질병관리청은 작년 2월 말부터 집계된 이상 반응 신고 건수가 44만 6천779건이라고 밝혔다. 이중 사망사례는 1천339건이다. 작년 8월보다 이상 반응 신고 건수(17만 천159건)는 61.6%, 사망 건수는 61% 증가했다. '코로나 19 백신 피해자 가족협의회'는 백신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사망자가 20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가 공식 인정한 사망사례는 2건에 불과하다. 부작용 의심 사망과 관련한 자료도 공개하지 않았다.
정부가 주초부터 신종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의 '릴레이 접종'에 나섰다. 겨울철 재유행을 앞두고 백신 접종률이 저조한데 따른 고육책이다. 지난 21일 기준 18세 이상 동절기 추가접종률은 5.9%에 머물고 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도 17.3%, 감염 취약시설 관련자 17.6%다.
접종률이 낮은 주요인은 시민들이 코로나를 엔데믹 상황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백신을 맞아도 감염되기는 매한가지라는 불신이 더해진다. 미 접종자가 감염되더라도 견딜 만 했다는 경험담이 많다. 젊은 층에선 '코로나 걸려 죽을 확률보다 백신 맞고 숨질 확률이 더 높다'고 한다.
백신 안전성 논란에, 정책불신은 설상가상이다. 공포에 떨면서 접종을 받아야 하고, 부작용이 발생해도 보상 가능성이 희박하다. "백신 왜 맞느냐"고 하는데, 정부는 "접종을 하는 게 더 이롭다"고 딴소리다. 정부가 힘을 줄수록 저항도 커지기 마련이다.
정책에 대한 불신, 불만이 폭발했다. 자영업자들은 영업시간과 인원제한이 방역에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뭐냐고 따졌다. 지하철과 버스는 왜 인원제한을 두지 않느냐는 비판이 거셌다. 백신 접종 뒤 사망하거나 이상 증상에 시달린다는 신고가 폭증했다. 그런데도 정부는 "백신이 가장 효과적인 방역 수단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독려했다.
올 상반기 질병관리청은 작년 2월 말부터 집계된 이상 반응 신고 건수가 44만 6천779건이라고 밝혔다. 이중 사망사례는 1천339건이다. 작년 8월보다 이상 반응 신고 건수(17만 천159건)는 61.6%, 사망 건수는 61% 증가했다. '코로나 19 백신 피해자 가족협의회'는 백신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사망자가 200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가 공식 인정한 사망사례는 2건에 불과하다. 부작용 의심 사망과 관련한 자료도 공개하지 않았다.
정부가 주초부터 신종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의 '릴레이 접종'에 나섰다. 겨울철 재유행을 앞두고 백신 접종률이 저조한데 따른 고육책이다. 지난 21일 기준 18세 이상 동절기 추가접종률은 5.9%에 머물고 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도 17.3%, 감염 취약시설 관련자 17.6%다.
접종률이 낮은 주요인은 시민들이 코로나를 엔데믹 상황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백신을 맞아도 감염되기는 매한가지라는 불신이 더해진다. 미 접종자가 감염되더라도 견딜 만 했다는 경험담이 많다. 젊은 층에선 '코로나 걸려 죽을 확률보다 백신 맞고 숨질 확률이 더 높다'고 한다.
백신 안전성 논란에, 정책불신은 설상가상이다. 공포에 떨면서 접종을 받아야 하고, 부작용이 발생해도 보상 가능성이 희박하다. "백신 왜 맞느냐"고 하는데, 정부는 "접종을 하는 게 더 이롭다"고 딴소리다. 정부가 힘을 줄수록 저항도 커지기 마련이다.
/홍정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