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형-수의사.jpg
송민형 경기도수의사회 부회장
10여년 전 필자의 병원을 이용하던 견공 중에는 포근이라는 이름을 가진 코커스패니엘종 수컷 강아지 한 마리가 있었다. 포근이는 애지중지하며 지극정성으로 보살피는 보호자 덕에 규칙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며 건강하게 자랄 수 있었다. 코커스패니엘종 특유의 천성적인 활발함에 왕성한 호기심을 더해 유쾌하고 활기찬 생활을 이어갔고 보호자의 사랑을 한 몸에 듬뿍 받으며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포근이의 보호자가 사색이 되어 요란하게 병원문을 열며 들어왔다. "원장님! 우리 포근이가 없어졌어요. 공원 산책중이었는데 잠깐 한눈 판사이 '쌩'하고 달려가는데 도저히 잡을 수가 없었어요. 우리 포근이 좀 찾아주세요! 흑흑흑…." 갑자기 사라져 버린 포근이로 인해 패닉에 빠진 보호자는 포근이를 찾을 방도가 없자 무작정 병원으로 달려온 것이었다. 포근이도 걱정이었지만 우선 당장은 흥분한 보호자를 달래는 것이 먼저인지라 시원한 물 한잔을 건네며 포근이를 찾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필자가 병원을 운영중인 수원시는 수년 전부터 동물등록시범사업이 진행 중이었고 포근이 역시 동물등록을 하였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거나 누군가가 키울 요량으로 집에 데리고 가지만 않는다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보호자는 포근이가 사라진 인근에 사진이 들어간 전단지를 붙여 놓고 주변을 돌며 수소문을 시작하였고 필자는 인근 동물병원에 연락하여 유사한 이력을 가진 강아지가 병원에 오게 되면 바로 연락해달라는 부탁을 하였다. 노심초사하며 끼니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 포근이를 찾아다니는 보호자를 위로하고 길에서 고생하고 있을 포근이를 걱정하며 기다린 지 3일째, 보호자에게 구원의 손길처럼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수원시 유기동물보호소에서 걸려온 전화였으며 포근이를 보호하고 있으니 얼른 와서 데리고 가라는 내용이었다. 전화를 받은 즉시 유기견보호소로 달려간 보호자는 소정의 절차를 거친 후 바로 포근이를 데리고 올 수 있었다. 포근이는 보호자와 헤어진 장소에서 5㎞나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당일 아침에 지나가는 행인이 추레한 모습의 포근이를 보고 인근 파출소로 데려가 유기동물보호소에 인계되었고 유기동물보호소에는 입소 수속과정 중 동물등록시 삽입한 마이크로칩을 읽어 보호자에게 바로 연락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포근이는 이틀간을 길에서 배회하며 힘들게 보냈지만 유기동물보호소로 인계된 직후 바로 보호자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으니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포근이가 동물등록을 하지 않았다면 보호자의 품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장담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다행히 돌아올 수 있었다 하더라도 이처럼 쉽게 돌아올 수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부터 동물등록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생후 2개월령 이후의 반려견은 등록 대상이 된다. 동물을 등록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우선 동물을 동반해서 동물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외장형 방식은 등록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외장형 마이크로칩 목걸이를 구입하고 목줄 등에 부착하면 된다.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지만 외장형 마이크로칩이 떨어져 나가거나 목걸이를 하지 않은 상태라면 동물등록의 의미는 사라지게 된다. 두 번째로는 내장형 마이크로칩을 견갑부위에 삽입하는 방법인데 이도 간단하게 주사한대 맞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마이크로칩의 안전성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는데 필자의 병원에서는 10년전부터 시술을 해오고 있으며 아직 한건도 이상반응을 본적이 없다. 수원시 유기동물보호소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지난달에 50마리가 입소하였으며 그중 23마리의 반려견에 동물등록이 되어 있었다고 한다. 동물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 입소와 동시에 보호자에게 반환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보호자를 찾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며 보호자를 찾지 못해 새로이 입양처를 알아봐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동물등록은 의무제이기 때문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되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아직 동물등록을 하지 않았다면 하루라도 빨리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동물등록을 하는 것이 좋다.

/송민형 경기도수의사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