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101000410800018981

학교 현장이 교원평가로 야단법석이다. 교원평가는 교사들의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식 명칭은 '교원능력개발평가'이다. 능력이 좋은 교사를 우대해 공교육의 질을 향상하자는 취지로 2010년 전국 초·중·고교에서 시행했다. 교사들은 반발했지만, 평가 없는 교단에 불만을 가진 학부모와 학생들은 지지했다.

최근 견원지간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원평가 폐지를 합창하고 있다. 세종시의 한 고등학교 교원평가에서 학생이 선생님을 성희롱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한 학생이 여교사를 적나라하게 희롱했다. 교총과 전교조는 교원평가가 교사에 대한 성희롱, 인신공격 수단으로 전락했다고 개탄한다.

"화장이 줄어드니까 급식 맛이 좋아졌네요.", "난쟁이 새끼.", "××할 때 어떻게 하는지 실제로 실습해 주세요.", "지방대 출신이 운 좋게 선생이 돼서…." 전교조가 공개한 서술형 교원평가 사례들이다. 선을 넘어도 한참 넘은 성희롱과 각종 비하 발언이 학생이 맞나 싶을 정도다. 교총은 최근 보도자료에서 학생들의 막말 평가로 인해 "교원들이 교직을 다시 생각할 만큼 충격을 받는다"고 밝혔다.

선생님들의 상심에 공감하고 교권 회복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런 학생들이 전체 학생을 대표하는지는 의문이다. 몇몇 극단적인 사례를 일반화하는 오류 아닌가 싶어서다. 반대로 이념적 선동과 정치적 혐오에 열중하거나, 각종 일탈로 교단에 먹칠하는 교사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교단 전체는 건강하고 헌신적이라는 믿음으로 학부모들은 학교에 자녀를 맡긴다.

교총과 전교조는 교원평가제도가 도입된 이후 학생들의 악질 평가에 선생님들이 시달려왔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런 학생들은 늘 있었다. 교원평가를 안하면 악질 평가도 없어지겠지만, 늘 있었던 비뚤어진 학생들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그런 학생조차 인내와 사랑과 권위로 치유하고 바로 세워야 선생님이고 학교다.

교원평가제 운영 과정의 문제점은 개선할 필요가 있지만, 늘 있었던 일부 학생들의 일탈을 이유로 제도 자체의 유용성을 포기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설령 문제 학생들이 늘어났다 해도 교사·학부모·사회가 연대해 해결해야지, 안듣고 안보고 외면하는 방식으로 회피할 일인가 싶다. 조화로워야 할 교권과 학생인권이 충돌하는 학교 현장이 답답하다.

/윤인수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