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의 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A씨는 올해 실시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표를 열어보지 않았다.
동료 교사 몇몇이 학부모로부터 "우리 아이를 학대했다"는 확인되지 않는 사실과 모욕적인 평가를 받자 본인도 열어보는 게 겁이 났기 때문이다. 한 동료 교사는 학부모에게 "교육을 이렇게 하면 아는 기자에게 고발하겠다"는 협박을 듣기도 했다.
A씨는 "특수학급 특성상 소통이 어려운 학생들이 있다. 그럴 때 학생들이 공격적으로 나오기도 해서 엄중한 주의를 줄 때가 있는데, 이를 학부모들이 오해하고 악의적인 평가를 할 때가 있다"며 "이런 평가를 한 번 받으면 교육할 때 많이 위축된다"고 토로했다.
학부모가 익명으로 참여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는다. 학부모가 교원의 수업과 지도 방식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인신공격 등 악의적인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참여율 20% 불과… 실효성 의문
학교 소통·운영 변화 등 개선 필요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지난 2010년 도입됐다. 매년 하반기에 한 번 학생과 학부모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교원의 수업과 지도 내용을 객관식·자유 서술식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학생을 통해 간접적으로 교원의 수업과 지도 방식을 듣는 학부모가 정확한 평가를 내리긴 어렵고 담임 교원 이외에 비교적 얼굴·이름이 낯선 보건·사서 등 비교과교원, 교장, 교감 등은 명목상으로 평가가 이뤄지기 일쑤다. 이에 교육보다는 민원 처리에 능숙하고 친소관계가 좋은 교원일수록 고평가를 받는다는 게 교원 단체의 설명이다.
정작 학부모들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실효성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다. 도승숙 참교육을위한학부모회 경기부지부장은 "학교에 관심 있는 학부모는 극히 일부다. 참여율이 20%라는 게 현 실태를 보여준다. 예산을 들여가면서 이런 평가를 진행하는 게 의미가 있나 싶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인신공격성 발언은 거르는 기능을 도입해 방지하고, 학부모는 교원 능력 평가보다는 학교 소통이나 운영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는 "전면 폐지보다는 부분적 개선을 해야 한다.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고 학생 평가를 중심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