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 내년도 예산 규모가 1조1천26억3천400만원으로 확정됐다. 인천경제청은 내년에 개청 20주년 기념사업을 비롯해 K-바이오 랩허브 구축, 인천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위한 용역, 인천경제자유구역 기반 인프라 확충사업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20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내년 인천경제자유구역에 투입할 전체 예산은 1조1천26억3천400만원으로, 올해 1조2천216억1천200만원과 비교해 9.7% 감소했다. 인천경제청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국내외 경제 하강 국면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천경제청 주요 세입인 토지 매각 대금도 줄어들 것으로 분석해 내년 예산 규모를 올해보다 9.7% 줄여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작년보다 9.7% 감소한 1조1026억…
경제 하강 지속 전망에 축소 편성


인천경제청은 내년 개청 20주년을 맞아 그간 성과와 비전을 담은 책자를 발간하고 경축음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인천의 성장 동력인 경제자유구역의 성과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제2의 모더나를 송도국제도시에서 탄생시킨다는 목표로 추진되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은 내년에 설계작업 등이 진행된다.

지난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K-바이오 랩허브는 2031년까지 2천726억원을 투입해 의약·바이오 분야 벤처기업이 이용하는 사무·연구 공간을 마련하고 이들 기업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인천경제청은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 2026년까지 K-바이오 랩허브를 완공해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육성의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위한 준비작업도 내년에 시작된다. 지난 2003년 국내에서 가장 먼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송도(53.36㎢), 영종(51.26㎢), 청라(17.80㎢) 등 3개 지구로 구분돼 있다.

경제구역 확대·바이오 랩허브 추진
송도·청라등에 인프라 구축 사업도


인천경제청은 유정복 인천시장 취임 이후 핵심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과 '뉴홍콩시티' 건설을 위해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또 2025년 사용 종료 예정인 수도권쓰레기매립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한 밑그림을 내년 완성한다는 계획으로, '인천 내항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과 '경제자유구역 확대(북부권)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 등을 각각 진행할 예정이다.

이밖에 송도국제업무단지 기반시설 공사와 송도하수처리장 2단계 설비 증설사업, 청라호수공원 테마원 조성사업(2단계) 등 경제자유구역 인프라 구축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내년 불투명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경제자유구역 발전을 위한 각종 사업에 예산을 과감히 투자해 인천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