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위성항법시스템(GPS) 교란 공격에도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돕는 첨단지상파항법시스템이 인천 옹진군 소청도에 구축됐다.

해양수산부는 소청도에 GPS의 단점을 보완한 첨단지상파항법시스템 운용을 위한 신규 송신국을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신규 송신국은 신뢰성 있는 위치·항법·시각(Positioning Navigation Timing·이하 PNT)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됐으며, 내년 1월부터 시범운영이 시작된다.

교통·통신·전력·방송·금융 등 산업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는 PNT 정보는 GPS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약 2만㎞ 떨어진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어 전파간섭이나 교란(Jamming)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파교란이 발생하면 항공기와 선박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운항이 중단되고 휴대전화 이용이 어려워지는 등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이후 4차례나 수도권 상공과 해상에서 전파혼신 피해가 발생했다. 북한의 GPS교란 영향으로 항공기 2천144대, 선박 980척이 영향을 받았다. 서해 5도에서 조업하던 일부 선박은 GPS 고장으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까지 접근했다가 돌아오기도 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해수부는 첨단 지상파항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2020년 완료했다. 이 기술은 기존 지상파항법시스템과 달리 GPS가 아닌 지상 3개소의 송신국을 활용하기 때문에 GPS 전파교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시범운영 권역은 과거 GPS 전파 혼선 피해가 컸던 서해접경 수역, 수도권과 군산 해역을 포함한 서해권이다. 시범운영 동안 시스템 안정화와 신호품질 확보 등 기능 보완을 통해 2024년 하반기부터 정식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가 정착되면 GPS 전파교란 발생 시에도 선박들이 안정적으로 항해할 수 있게 되는 등 민간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정태성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GPS 전파교란 발생시 안정적인 PNT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며 "이 시스템이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신호 품질 개선과 함께 관계부처와 협의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