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1401000544900026391.jpg
토끼보호연대가 운영 중인 유기토끼보호소 '꾸시꾸시'의 최고참 '칠라'. 칠라는 지난 2018년 서울 몽마르뜨 공원에서 발견됐다. 치료를 마친 뒤 재방사 됐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또 다시 다리가 골절돼 이 곳으로 돌아와야만 했다. 2023. 1.15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초식동물 특유의 온화함이랄까요?
솜털 같은 짧은 꼬리, 똘망한 눈이 매력적인 토끼 '칠라'는 낯선 사람을 무서워한다. 토끼장을 열면 화들짝 놀라 구석으로 숨는다.

15일 토끼보호연대가 운영 중인 수원의 유기토끼 보호소 '꾸시꾸시'에서 만난 '최고참' 칠라(최소 5살)는 몸을 잔뜩 웅크린 채 사람을 경계했다. 활동가가 손을 살포시 얹은 채 등을 쓰다듬자 그제야 긴장을 푸는 듯했다. 칠라가 이곳에 들어온 건 지난 2020년이다. 지난 2018년 '유기토끼 공원'이라 불린 서울 몽마르뜨 공원에서 다친 채 발견돼 치료 후 재방사됐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또다시 다리가 골절돼 보호소로 돌아와야만 했다.

2023011401000544900026392.jpg
토끼보호연대가 운영 중인 유기토끼보호소 '꾸시꾸시'에는 총 72마리의 토끼가 함께 살고 있다. 2023.1.15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보살핌 속 입양 기다리는 72마리
지자체 사육되다 구조된 경우도
2016~2020년 총 1605마리 버려져
반려동물 등록제 대상 확대 거론
꾸시꾸시에는 새 주인을 기다리는 식구들이 많다. 총 72마리 토끼가 살고 있다. 이곳에 오기 전 토끼들이 살았던 환경은 제각각이다. 한가지 공통점은 '길에 버려진 경험'이 있고 모두 '생사의 기로에 놓여있었다'는 점이다.

올해 3살이 된 '뭉게'도 있다. 뭉게는 무분별한 사육장 조성으로 논란이 됐던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서 발견됐다. 호흡기 기저 질환을 앓던 뭉게는 보호소 활동가에 의해 구조됐다. 뭉게는 새 주인을 만나기 위한 입양 절차를 진행 중이다.

'토끼 유기'는 다른 반려동물들의 유기와는 양상이 다르다. 보통 개와 고양이는 개인이 키우다가 버리는 경우가 많다. 토끼 유기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김지수 토끼보호연대 활동가는 "개인의 유기보다는 지자체 등에서 토끼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데려온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고 말했다.

2023011401000544900026394.jpg
올해 3살이 된 '뭉게'는 서울 배봉산 둘레길에서 발견됐다. 폭우 속 생사의 기로에 놓였지만 꾸시꾸시에 입소해 치료를 받았고, 현재 새 주인을 만나기 위한 입양 절차를 밟고 있다. 2023.1.15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꾸시꾸시에서 보호 중인 토끼 중 25%는 지자체의 책임에서 비롯됐다. 이른바 '토끼섬'으로 불리던 송도 센트럴파크에서 구조해온 토끼가 4마리가 있다. 토끼보호연대는 올해 3월까지 센트럴파크에 남은 10여마리의 토끼도 마저 데려올 계획이다. 시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토끼를 사육하다가 개체 수가 늘자 무료 분양을 진행해 비난을 샀던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서 데려온 토끼는 14마리다.

계묘년인 올해 토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토끼보호연대는 오히려 걱정이 앞선다고 했다. 관심이 많아진 만큼, 수요가 많아질 것이고 그만큼 쉽게 버려지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펫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롭이어토끼의 믹스종이 최근 꾸시꾸시에 들어왔다. 축 처진 귀가 특징인 롭이어는 품종토끼다. 꾸시꾸시에선 찾아볼 수 없던 품종토끼 믹스종이 입소한 것이다.

지난해 동짓날(12월22일) 이곳에 입소해 '동지'라는 이름을 얻은 이 토끼는 눈에 백탁 현상이 있고 왼쪽 귀에는 상처가 남았다. 김 활동가는 "한번 유행이 쫙 돌면 그 종의 토끼가 많이 버려진다"며 "샵에서는 예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유통되는데 오히려 많이 버려질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2023011401000544900026395.jpg
토끼보호연대가 운영 중인 유기토끼보호소 '꾸시꾸시'에 최근 품종토끼인 롭이어 믹스종이 들어왔다. 지난해 동짓날 이곳에 입소해 '동지'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토끼는 한쪽 눈에 백탁 현상이 있고, 귀에도 상처가 나있었다. 2023.1.15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동물자유연대의 '2016~2020 유기 유실 동물 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난 5년간 1천605마리의 토끼가 버려졌다. 해마다 300여마리의 토끼가 유기되는 셈이다. 동물보호단체는 토끼 유기를 막기 위해선 토끼를 반려동물 등록제 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이형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는 "무분별한 판매, 무책임한 유기를 막을 수 있고 최소한 개인이 토끼를 유기하는 경우가 줄어들 것이다"며 "공공장소에서 동물을 관상용으로 기르는 지자체에 대한 제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려동물로 고민 중인 '토끼'... 이건 만큼은 알고 키우자!
토끼는 영역 동물이다. 좁은 곳에서 개체 수가 늘면 스트레스로 인해 다치거나 죽기도 한다.

성장 발육은 대체로 6개월~1년이면 끝난다. 6개월을 기점으로 먹이도 달라진다. 이전에는 주로 콩과 건초를 먹었다면 성묘가 된 뒤로는 벼와 건초가 주식이다.

주된 활동 시간은 새벽 동트기 전과 해가 지는 시간으로, 24시간 자율 배식을 하더라도 유독 이때 먹이를 많이 먹는다.
유기 토끼를 본다면?
시 보호소로 연락해야 한다.

토끼는 고양이 등 육식동물의 표적이 되기 쉬워 유기된 시점으로부터 3년 이내에 죽는 경우가 많다.
토끼 입양 어떻게 하나요.

꾸시꾸시에서 토끼를 입양하려면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꾸시꾸시 네이버 카페 등에 가입해 토끼 입양 의사를 밝히면 된다. 신청서를 꾸시꾸시에 제출하면 입양 심사에 정통한 활동가가 심사를 진행한다. 가정 방문도 이뤄진다. 토끼가 살만한 환경인지, 주인의 경제력이 충분한지, 당분간 이민 계획이 없는지 등 여러 조건을 따져보고 통과하면 꾸시꾸시에서 가정에 토끼를 전해준다. 토끼를 입양한 뒤에도 6개월에 한번씩 카페 등 커뮤니티를 통해 반려 묘에 대한 후기를 올려야 한다.

꾸시꾸시 봉사자로 활동하고 싶다면?

꾸시꾸시에는 현재 30여명의 봉사자가 활동 중이다. 이들은 토끼장 청소와 먹이 주기 등을 도맡는다. 활동 자격은 주 1회, 최소 3달 이상 활동 할 수 있는 성인이 원칙이지만, 주 1회가 힘든 경우 2주마다 1회씩, 3달 이상 활동할 수 있더라도 신청할 수 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