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조치가 1주일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역 일부 중소기업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화장품을 수출하는 인천의 한 유통업체는 최근 곤경에 빠졌다. 새로운 화장품들을 수출하기 위해 중국 당국의 위생 허가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이달 말께 마무리 됐어야 할 인증 절차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진 탓에 현지 기관의 처리가 더디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지만 지연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담당자가 직접 현지로 갈 준비까지 마쳤지만, 중국발 비자중단사태가 터지면서 이마저도 불가능해졌다.
단기 발급·경유지 체류 등서 제외
인천, 지리적 인접성 수출입 '1위'
지난 10일 중국 정부는 한국 국민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을 거쳐 제3국으로 가는 외국인에 대해 경유지역 내에서 72시간 또는 144시간 동안 체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대상에서도 한국 국민을 제외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공장을 가동하거나 한국과 중국을 오가면서 무역을 하는 인천지역 중소기업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중국 현지에 주재원을 파견할 여력이 되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은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사태로 인한 타격이 거의 없지만, 인력이 적은 중소기업들은 대안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인력 적은 중소기업들 대안책 난항
인천중기청 "장기화땐 타격 불가피"
코로나19 유행 이후 한국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는 많이 줄었지만,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천은 수출입 모두 중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가 집계한 지난해 11월 기준 인천의 국가별 수출 동향을 보면, 중국이 14억1천8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44억5천600만 달러)의 31.8%를 기록해 가장 큰 규모다. 두 번째로 수출 규모가 큰 미국(8억7천700만 달러)보다 약 1.6배 많다.
수입 부문 역시 중국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인천의 대중국 수입 규모는 7억9천4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52억7천300만 달러)의 15.1%를 차지했다. 수출과 비교하면 2위(미국 13.3%)와의 격차가 작지만, 이는 지난해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관련 수입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겨간 결과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인천의 대일본 수입 규모는 2021년 11월 3억2천만달러에서 지난해 11월 4억3천700만달러로 36% 늘었다.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직후부터 인천 중소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접수하고 있는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긴급 비자 발급을 요청한 기업은 없지만, 중국 현지 사업과 관련해 해결 방안을 묻는 기업들의 상담이 매일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으나 한 달 이상 장기화하면 무역업 등 일부 업종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