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1901000767900037011.jpg
군포시는 지난 17일 김용석 총괄기획가와 전문가 6명이 참여한 제2차 산본신도시 총괄기획가 지원팀 회의를 개최했다. 2023.1.17 /군포시 제공

1기 산본 신도시의 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해선 용적률 완화와 이주 문제에 대한 세심한 주의사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7일 군포시는 제2차 산본신도시 총괄기획가 지원팀 회의를 개최, 시가 추천해 국토교통부 장관이 선임한 김용석 총괄기획가(Master Planner, 한국교통대 겸임교수)와 전문가 6명이 참여했다. 김 총괄기획가는 정부·지자체·주민 간 가교 역할과 정부의 '1기 신도시 정비 민·관 TF회의'에서 1기 신도시 정비방안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제2차 산본신도시 총괄기획가 지원팀 회의
타 시도에 비해 용적률 높아 대안 필요성
대야미 공공주택지구 이주계획 협의 필요


이날 김 총괄기획가는 국토부가 2월께 노후도시정비특별법을 만들기 위한 막바지 내용을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정부와 1기 신도시 5곳의 지자체장들은 1기 신도시 정비를 위해 특별법을 오는 2월께 발의하고 마스터플랜을 오는 2024년까지 수립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시는 현재 산본신도시에 대한 정비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용역에 착수한 상황으로 오는 2024년을 목표로 주거환경개선과 도시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날 최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산본 신도시의 경우 타 신도시보다 용적률이 높다는 점과 도시 전체 개발 정비에 따른 이주 문제도 대안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본 신도시는 용적률이 205%에 달해 사업성이 부족하다. 이는 성남 분당 신도시 170%, 고양 일산 신도시 160%의 용적률에 비해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사업성을 위해선 용적률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또 단지를 통합 개발하는 문제점과 역세권 용적률 완화를 통한 개발에 따른 주민들의 이주 대책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도시 개발화에 따른 이주 대책으로 대야미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에 반영할 계획도 있지만 LH와 협의할 사항이라 확실치 않다.

시 관계자는 "총괄기획가는 국토부에 군포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원팀 회의는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고 정부 및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1기 신도시 정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군포/신창윤기자 shincy2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