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6.jpg
경인전철 동인천 민자역사 건물이 철거된다. 흉물로 방치된 지 10여년 만이다. 정부는 철거 부지에 복합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2023.1.19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국토교통부가 동인천 민자역사를 철거한다는 방침을 정하면서 향후 개발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인천역 남광장과 북광장 등을 연계한 형태의 통합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동인천역 일대는 그동안 동서 방향으로 지나는 철도로 인해 남북으로 나뉘어 개발 사업이 추진돼왔는데, 이를 연계한 새로운 형태의 개발방안 수립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인천 민자역사가 철거되면 1만2천㎡ 면적의 부지가 확보된다. 여기에 남광장 등 국토부 소유 부지까지 합치면 개발 가능한 면적은 더 넓어진다.

동인천역 북광장은 인천시가 개발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상태다. 동인천역 북광장은 2020년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됐는데, 인천시는 올해 상반기 중 도시재생 뉴딜사업 취소 절차를 거쳐 개발 계획을 다시 수립할 예정이다. 


역사 철거로 1만2천㎡ 부지 확보
국토부 소유지 합치면 더 넓어져
제물포 르네상스 계획 포함 검토


동인천역 일대는 유정복 시장의 1호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주요 지역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제물포 르네상스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과 2040 인천도시기본계획 등에 동인천역을 포함해 개발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공간혁신구역제도'를 동인천역에 도입하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공간혁신구역은 도심 내 고밀·복합 개발이 필요한 공간에 토지 용도·밀도 제한을 대대적으로 완화하는 제도다.

동인천 민자역사 부지는 국가철도공단이, 북광장은 인천시가 개발 주체다. 동인천역의 남과 북을 연계하기 위해선 이들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국가철도공단과 국토부, 인천시 등은 지난해 11월 상시협의체를 구성해 회의를 이어오고 있다. 이들은 상시협의체에서 동인천역의 남북을 연계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국토부·철도공단·市 "집중 논의"


인천시 관계자는 "내달 중 국토부, 국가철도공단 등과 상시협의체 회의가 예정돼있다"며 "국토부, 국가철도공단 등에 인천시 의견을 전달하며 연계 개발 방안을 포함해 동인천역 일대를 어떻게 개발할 건지 집중적으로 논의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도 "철거라는 큰 틀의 방침이 정해진 만큼 세부적인 계획은 인천시 등과 함께 마련하겠다"고 했다.

동인천역 인근의 한 주민은 "동인천역 민자역사가 방치되면서 지역 상권은 다 무너졌다. 동인천역 일대에 어떤 시설이 들어와서 개발되기만을 주민들은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제물포 르네상스와 연계해서 동인천역 부근을 활성화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인천 민자역사에 얽혀있는 720억원 가량의 채권 문제는 과제로 남았다. 일부 채권자는 현재 동인천역 민자역사에 대해 유치권을 행사하고 있다. 국토부 등이 철거를 추진할 경우 행정소송 등 채권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리모델링 시공을 담당했던 한 유치권자는 "우리는 공사하고도 돈을 못 받아 사실상 파산한 상태다. 책임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며 "철거를 강행한다고 하면 진짜로 죽기 살기로 할 것"이라고 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