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1.jpg
사진은 인천교통공사 본사 전경. /인천교통공사 제공

 

인천교통공사가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큰 작업이나 '신당역 역무원 살인사건' 등 업무 중 위험 상황에 대비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132명의 안전인력을 더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천교통공사가 최근 마무리한 '자체 조직진단 직무분석 연구용역'에는 철도안전법 등 법령에 명시한 작업별 안전인력을 산출했을 때 최소 132명을 확충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용역 수행사는 2인 1조 작업과 위험작업장 근무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력 확충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자체 용역… 법령 명시 인력 산출
㎞당 24.7명 '서울의 절반도 안돼'
"위험 작업에 1명 투입될 때 많아"


인천도시철도 2호선(27개 역)은 지난 2021년 기준 1인 단독 근무 발생률이 주간 66%, 야간 55%였다. 주간·야간 업무를 번갈아 하는 인천교통공사 근무 주기에 따라 직원 1명이 업무를 담당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1인 근무가 계속되면 안전·소방 관리, 고객 안내 등이 어려워서 역사 안전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직원 혼자 순찰 업무를 맡으면서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게 나타났다. 신호·통신·기계환경 분야 업무 또한 인력 부족 탓에 선로 내 시설물 점검·보수 등 위험 작업 시 안전 관리·감시 업무를 맡는 필수 인력을 배치할 수 없었다.

1인 근무가 빈번하게 이뤄지는 상황에서 도시철도 관련 안전사고는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 도시철도 역사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2019년 200건, 2020년 160건, 2021년 257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서울 신당역에서는 역무원이 혼자 순찰을 하다가 피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피해자는 홀로 순찰 중이었고 별도 보호 장비도 갖추지 않았었다.

인천교통공사는 전국 도시철도 운영 기관 중 1명당 수송 인원이 서울 다음으로 많은데, 안전인력은 가장 적어 근무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왔다.

인천도시철도 운영·관리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은 ㎞당 24.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다. 서울이 53.68명으로 가장 많고 부산 38.46명, 대구 31.30명, 대전 30.24명, 광주광역시 28.88명 순이다.

인천교통공사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시에 안전인력 증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천시가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 계획에 발맞춰 공사·공단 인력 증원 없이 기능 통폐합 등을 추진하고 있어서 도시철도 안전인력이 어느 정도 늘어날지는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서울은 공공일자리로 공백 최소화


도시철도 안전인력 확대는 인천교통공사뿐만 아니라 서울교통공사 등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이 각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하고 있는 사안이다. 서울시는 우선 공공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동자 약 800명을 도시철도 안전인력으로 배치해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인천교통공사 관계자는 "적정 안전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철도 운영시설 등을 다루는 위험 작업에도 1명이 투입될 때가 많다"며 "안전을 비용 절감 등 효율성 측면으로 바라본다면 추후 더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