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 물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 331호인 점박이물범이 백령도 바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올해 백령도와 대청도·소청도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하기 위한 절차가 본격 추진된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6월 말까지 환경부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기 위한 첫 번째 행정 절차를 시작하는 것이다.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공식 신청서를 제출하기 위해선 환경부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후보지 지정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환경부는 7월1일까지 신청서를 접수한 후 12월 후보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백령·대청·소청도가 환경부 지정 평가를 통과하면, 인천시는 내년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의향서(6월)와 신청서(11월)를 제출할 방침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결과는 2025년 유네스코의 서류 평가와 현장 심사를 거쳐 2026년 4월께 발표될 것으로 인천시는 예상하고 있다.

인천시, 유네스코 신청절차 돌입
환경부 후보지 지정평가 '첫 관문'


인천시는 백령·대청·소청도가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받을 수 있는 조건을 어느 정도 충족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백령·대청·소청도의 좁은 면적과 관련 학술조사·연구가 부족하다는 점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인천시가 최근 마무리한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전략 수립 용역'에서는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시 예상되는 문제점이 제시됐다. 도서형 세계지질공원 지정 과정에서는 면적과 인구에 따른 지속성 평가, 내륙과 거리, 접근성 등이 주요 평가 대상이 된다.

백령·대청·소청도 육상 면적은 66.62㎢로, 최소 세계지질공원인 스페인 바스크 해안지질공원(89㎢)보다 작다. 인천시는 세계지질공원 권고 기준인 1㎢당 10명 이상의 인구밀도를 고려해 면적 확장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해상 면적을 추가해 총면적을 넓히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법적 규제가 없어 해상으로 면적을 넓히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게 인천시 판단이다. 그러나 해상에서 어업활동을 하는 주민 등을 중심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연구진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자발적 협조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최소 면적' 바스크공원보다 작아
해상면적 '추가' 법적규제는 없어
전북대 학술논문 연내 완료 '보완'


백령·대청·소청도의 국제적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학술자료도 더 필요한 상황이다. 백령·대청·소청도 접근성은 최근 백령공항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해결된 것으로 인천시는 분석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전북대 연구팀 등이 국제 학술논문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부족하면 학술논문을 추가로 준비할 계획"이라며 "용역에서 제시된 문제점들을 보완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