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8일 김진용 청장이 이종석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을 만나 인천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 등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취임한 이종석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은 이날 인천경제청을 방문해 김진용 청장을 면담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관, 글로벌캠퍼스 등을 방문했다 오후에는 영종국제도시에 위치한 반도체 후공정 기업인 스테츠칩팩코리아를 찾아 관련 시설 등을 둘러봤다.

면담에서 김진용 청장은 "국내 1호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인천경제자유구역이 도약하기 위해선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거시적인 안목으로 협조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이종석 단장은 "전국 경제자유구역의 '맏형' 격인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애착이 크다"며 "인천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 방안을 잘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지역 찾은 산업부 기획단장에 건의
여의도 14배 면적 만큼 추가 검토


인천경제청은 여의도 14배 면적만큼 경제자유구역을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총 107억원을 들여 내항 일원(3.01㎢), 송도 주변(2.67㎢), 수도권매립지(16.85㎢), 강화 남단(18.92㎢)을 대상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 타당성을 검토하고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용역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내항 일원에서는 역사·문화·해양관광·레저·문화 중심지를 조성해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송도 주변 옛 송도유원지, 인천 신항·남항, 남동산단 일부 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송도 내 투자유치 용지 부족 문제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매립지와 강화도 남단에는 친환경 고부가가치 산업단지와 테마파크 등 관광·레저시설을 유치해 수도권 명소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산업부는 지난해 규제 완화 차원에서 경제자유구역의 신규 지정 방식을 기존 5~6년 주기로 일괄 공모하던 것을 수시 신청·지정 체계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한 세부 절차도 개선해 시·도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을 하면 지정까지 기존 1년 이상 소요되던 것을 6개월 이내로 단축시키는 등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