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수동화평동 도시생활사 발간2
인천 동구가 최근 발간한 화수동·화평동 도시생활사. /동구 제공

인천 동구가 화수동·화평동 도시생활사를 발간했다.

동구는 이번 화수동·화평동 도시생활사를 끝으로 지난 2017년 송림동부터 이어진 송현동과 금곡동·창영동, 만석동 등 동구의 도시생활사 발간 사업을 마무리했다.

'무네미 넘어 벌말까지 화수동·화평동' 편은 지난해 1월부터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도시생활사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재개발 사업과 인구 노령화 등으로 인해 사라져 가는 주민들의 이야기와 숨겨진 지역사를 담았다.

동구 2017년 시작… 대장정 완수
재개발 등 떠나간 주민 이야기도
고문헌 조사·인터뷰 과정 거쳐

동구는 고문헌(古文獻)과 옛 신문, 사진 등의 기초자료 조사와 주민 인터뷰를 통해 이 지역의 살아있는 역사를 더욱 풍성하게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화수동·화평동은 조선시대 고성 이씨와 창녕 조씨의 집성촌으로, 1879년 서해안 방어기지였던 화도진이 창설되며 지역의 세가 확장됐다. 이후 일제강점기와 1950~1970년대를 거쳐 해안가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인천의 산업기지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전쟁 피난민들을 통해 유입된 황해도 전통문화의 정착지로 의미가 깊은 지역이기도 하다.

화수동·화평동 도시생활사는 지역 내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해 도서관과 국·공립 박물관 등 400여곳에 배부될 예정이다. 5권의 도시생활사는 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홈페이지(https://www.icdonggu.go.kr/museum/index.jsp)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김찬진 동구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화수동·화평동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상징성이 확대됐다"며 "완성된 동구 도시생활사가 동구의 지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