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철_-_수요광장.jpg
이영철 협성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
김어준씨가 교통방송의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그만두고, 유튜브 개인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을 개설했다. 이것은 잘한 일이다. 무엇보다 김어준씨 개인에게 좋다. 교통방송에서 그는 매년 수억원의 출연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채널 개설후, 단기간에 백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광고수입과 후원금 규모가 대단하다. 결국 그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자신을 알렸고, 그 인기를 바탕으로 유튜브에서 거액의 수익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이제 그는 재벌급 연예인의 반열에 올랐다. 지상파방송 출연→대중적 인기획득→유튜브를 통한 수익창출의 성공모델을 제시했다. 좌파 상업주의의 전형을 보여준 셈이다.

김어준씨의 유튜브채널은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일이다. 이제 그는 방송의 제약에서 자유롭다. 유튜브는 통신으로 분류된다. 원하고 필요한 사람들이 찾아서 이용하는 서비스다. 그래서 방송과 비교하면 규제가 상당히 완화되어있다. 김어준씨는 이제 사실을 왜곡할 수 있고, 여과장치 없이 일방적 의견을 전달할 수 있다. 그의 추종자들은 더욱 열광할 것이다. 그의 유튜브채널에 조민씨가 출연했다. 법원의 판단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듯한 조민씨의 언행은 놀라웠다. 과거 교통방송에서의 조민씨 출연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유튜브에서는 조용하다. 김어준씨 지지자들은 더욱더 강한 자극을 원할 것이다.  


김어준씨 교통방송 '뉴스공장' 하차
유튜브 채널 개설 거액 수익 잘한 일
추종자·서울시·타 방송에게 좋은일


교통방송 종사자에게도 '김어준의 뉴스공장' 폐지는 좋은 일이다. 김어준씨는 청취율을 높여서 교통방송의 존재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렇지만 동시에 교통방송의 존재 이유를 생각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교통방송은 내비게이션이 없던 시절에 탄생했다. 이제 '이 시간' 교통정보의 효용성은 떨어졌다. 설립목적을 다했으면 소멸되는 것이 이치다. 김어준이라는 좌파스타로 관심은 끌었으나 폐지를 요구받는 입장이 되었다. 이제 그가 사라졌으니 종사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해야 한다. 일부에서는 교통방송 종사자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기 때문에 존치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어불성설이다. 마치 고속도로 요금징수원의 일자리유지를 위해 하이패스를 도입하지 말아야 한다는 논리와 다를 바 없다.

김어준씨의 교통방송 하차는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서울시와 방송통신위원회에게도 좋은 일이다. 교통방송의 재정을 지원하는 서울시는 앓던 이가 하나 빠졌다. 방송법은 사회통합과 건전한 여론조성을 방송의 목적으로 규정한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이를 정면으로 위배했다. 그는 감독기관을 끊임없이 조롱하고 비난했다. 그들의 권위에 도전하고 갈등을 유발했다. 사실 그러한 도전이 인기의 비결이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를 가장 많이 받은 프로그램이 '김어준의 뉴스공장'이라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립 가장·공정 포장 시청자들 기만
신뢰성 무엇인지 고민 계기 됐으면


김어준씨의 교통방송 하차는 방송전공 교수들에게도 좋은 일이다. 학생들이 제작한 뉴스 프로그램 실습과제를 보면 당혹스러울 때가 많다. 전체를 보지 못하거나 한쪽의 일방적인 의견만을 제시한다.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추측한다. 비속어가 남발된다. 빈정거림이 다반사다. 학생들중 김어준씨를 존경하는 언론인으로 꼽는 경우가 제법 있다. 그들에게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모범(模範)이다. 전통을 무시하고 어떤 권위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자신의 주장만 옳고 다른 의견은 공격의 대상이다. 방송의 품격은 찾아보기 어렵다. 학생들은 유튜브와 방송을 혼동한다.

김어준씨의 교통방송 하차는 다른 방송사에게도 좋은 일이다. 방송은 누구나 볼 수 있고, 활자매체에 비해 영향력이 더 크다. 그래서 정치적 독립이 중요하다. 뉴스에서 공정과 중립이 강조된다. 교통방송에서 김어준씨는 일방적 주장을 중립으로 포장했다. 이제 유튜브로 전환했으니 자신의 주장이 객관적이라고 강변할 이유는 적어졌다. 다른 공영방송사도 자신들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자신의 업이 방송인지, 통신인지 생각해보아야 할 시기다. 특정 정파를 편들면서 중립을 가장하고 공정으로 포장하는 것은 시청자를 기만하는 일이다. 공영방송의 생명인 신뢰성은 무엇인지, 어디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지 고민하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다.

/이영철 협성대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